한류문화의 경쟁력을 믿고 과감하게 투자할 필요성 있어...

한용주 칼럼니스트

[공감신문 한용주칼럼] 중국 정부가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한국의문화 콘텐츠와 관련 상품무역 그리고 민간 문화교류에 대해 제재를 가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지침을 발표하면 민간 기업과 지방정부가 알아서 교류를 축소하거나 연기한다. 시간이 갈수록 지능적이고 포괄적으로 경제, 문화, 민간 차원의 교류 제재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류에 대한 제한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예전에도 중국 내 한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이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수입콘텐츠의 방송시간 제한이었다. 중국 당국은 한류문화의 인기로 인해 자국 문화산업이 성장하는데 방해가 될 것을 우려했다. 

그 이후로 한국의 문화콘텐츠 업계는 중국기업과 합작 또는 협력을 통해 중국시장을 진출하고 있다. 실제 중국 기업들이 한국기업과 합작형태로 한류 콘텐츠의 제작이나 유통단계에 투자해왔다. 

우선 한한류 조치에 대해 근본적인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하나는 중국이 사드 배치에 대한 반발을 노골화 함으로써 한국정부가 사드 배치를 철회하도록 압박하고자 하는 정치적인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사드 배치를 빌미로 한류문화로부터 자국의 문화서비스 산업을 보호하려는 숨은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은 제조업 수출성장 한계를 인식하고 내수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으며 문화산업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자국 문화서비스 산업을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선정하고 투자를 장려해왔다. 중국은 중국 기업이 한국기업과 합작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콘텐츠 제작기술과 기획 역량을 흡수하려고 한다.

따지고 보면사드 배치 여부는 한한류의 근본적인 문제가 아니다. 한국정부가 사드 배치를 철회한다고 하더라도 중국정부가 한한류를 철회한다고 장담할 수 없다. 설사 철회한다고 하더라도 중국 내 한류의 인기가 여전하면 향후 또 다른 빌미로 중국이 한류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한류문화의 성장을 이끌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K드라마와 K-팝을 필두로 시작된 한류열풍이 한때 일시적 현상으로 그칠 줄 알았지만 지금은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일본을 넘어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세계로 확산되며 세계의 주류 문화로 급부상했다. 이미 한류문화는 경쟁력이 입증된 셈이다.

최근 한한류에도 불구하고 중국인의 on-line 한류드라마 조회는 오히려 급증했다고 한다. 중국인의 한류 콘텐츠 사랑은 식지 않고 있는데도 중국 정부가 계속해서 한류를 제한하면 오히려 중국인의 한류문화에 대한 갈증은 더 커질 수 있다. 

여기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류에 대한 갈증을 활용하여 중국인이 직접 한국을 방문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자극하여 방문객을 늘릴 수 있다면 전화위복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단순히 콘텐츠를 수출하고 관련 상품을 수출하는 경제효과보다 중국 관광객을 직접 끌어들이는 경제효과가 몇 배 더 크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미 미용 성형외과 분야와 암 수술 분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더구나 중국은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암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의료서비스와 한류문화 서비스를 묶어서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 관광객을 더 많이 유치하고 체류기간을 늘릴 수 있다면 내수경제를 살릴 수 있는 새로운 성장산업이 될 수 있다. 덩달아 일자리 창출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의료, 문화, 쇼핑, 체험관광서비스를 하나로 묶어 플랫폼을 만들 필요가 있다. 하나로 묶는 이유는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우리의 입장이 아니라 방문객의 입장에서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한국을 방문하는 동안 서비스 다양성과 편리성으로 체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면 방문객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플랫폼을 만들려면 공간과 시설 그리고 입지와 연계성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송도신도시에 암치료센터와 성형외과센터 그리고 한류 K-pop공연과 영화, 드라마 상영관을 갖추면 훌륭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숙박시설과 쇼핑센터, 음식점은 기본이며 다른 관광지역과 연결 교통망도 필요하다. 핵심은 분산된 서비스가 아니라 한 곳에서 편리하게 그리고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집중된 서비스를 갖추어야 한다. 

여기에 소프트웨어를 얹어야 한다. 방문객이 플랫폼을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병원과 호텔, 음식점, 공연장, 교통망 등 안내와 예약이 편리하도록 해야 한다. 즉, 수술을 예약하고 체류기간 숙박과 문화공연관람 그리고 체험관광을 자유롭게 그리고 손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한번의 on-line 접속으로 예약을 마칠 수 있도록 각각 서비스 별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의료산업과 문화체험관광산업을 복합화하고 융합하면 독보적인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우리가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면 보다 쉽게 한한류 벽을 넘어설 수 있다.

일본의 사례를 보면 선진국이라고 문화서비스가 앞서가는 것은 아니다. 한류문화의 성공은 독특하다. 한국은 대륙과 해양의 경계에 위치한 반도국가이다. 그런 이유로 지리적인 위치와 계절적인 기후조건이 어우러져서 사계절이 매우 뚜렷하다. 이런 기후 여건이 한국인을 풍부한 감성과 감각 그리고 ‘빨리빨리’의 기질을 형성했다. 이러한 한국인의 기질이 한류문화의 경쟁력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14억 중국 인구와 10억 동남아시아 인구, 12억 인도 인구를 고려하면 향후 엔터테인먼트 시장은 아시아가 주도할 것이다. 아시아 시장은 미국의 엔터테인먼트 시장보다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우리는 한류문화의 경쟁력을 믿고 과감하게 투자하여 성장산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