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고리타분한 정치. 젊은이들 사이에서 정치는...

[공감신문 신도연칼럼] 한국의 고리타분한 정치. 젊은이들 사이에서 정치는 소위 개에게나 주는 말로 취급을 받곤 한다. 곱지 않은 시선 그리고 “정치하면 얼마 준대” 따위의 말. 물론 누군가에게 노동력을 건네주고 그에 따른 대가를 받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청년들의 정치엔 대다수가 꿈을 이루고자 하기에 열정페이로 가늠하는 경우가가 많다.

더 나아가 기존의 경험과 지금까지의 관행이 정치에서 만큼은 ‘청년’이라는 고귀한 말과 세대를 재단하는 경우가 참 많다. 청년이 가져야할 꿈과 희망이 정치에서 만큼은 그렇게 녹록치 않음을 대변하는 것들이다. 취업을 위해 일상을 포기하고 소위 스펙쌓기도 바쁜 학생들에게 정치를 하자고 하는 것은 스스로 꿈을 포기하고 살아라는 말과 동일시 여겨진다.

1980년대 90년대 학생 운동으로 민주화를 외치던 시절과 지금의 학생운동은 달라고 많이 다르다. 그 다름은 세대가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진출처 : 청년의 당 출범>

청년들은 늘 때에 따라 찾아가는 객손님이 되는 듯 하다. 이른바 ‘선거철’이 되면 찾아가는 ‘철 손님’ 청년의 정치 참여가 정치를 살린다는 듣기좋은 소리로 그들의 표를 구걸하는 작금의 모습은 그야 말로 변하지 않는 구시대적 발상이다. 특히나 청년들의 봉사활동과 sns 등을 활용하기 위한 어른들의 철없는 행동들이 청년들의 시름을 더 깊게 만들고 있음을 그들만 모른다.

그리고는 사라지는 청년의 모습이 안타깝다. 선거가 끝나면 휴지조각이 나뒹구는 거리의 모습마냥 청년의 모습은 그곳 즉 정치판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치워지는 쓰레기보다 못한 모습으로 청년의 모습은 없다. 

언제나 들러리 삶을 살아가는 청년의 모습이 어제, 오늘만의 문제였던가?

청년들의 얼굴 앞세워 스스로 젊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정당들의 청년 코스프레는 언제나 뒤에 감춰진 늙디 늙은 늙다리 정치인의 모습으로 변해버리기 일수다.

과연 시대의 모습에서 청년을 찾기란 갈수록 힘든 것인가?

더욱이 정치라는 직업군에 청년들이 취업하기가 힘들단 말인가?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청년들의 취업과 삶을 가장 많이 논하는 곳이 정치판이다. 그 판이 그렇게 판을 치고 있지만 정작 제대로 된 판은 아직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것은 근본적인 방법과 그에 따른 시스템이 없다는 것이다. 그만큼 정치는 청년들로부터 외면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사진출처: 청년 정치 커뮤니티>

몇 명의 청년들이 정치 제도권에 얼굴을 비추고 그게 청년들의 전부인양 호도하는 정치판의 모습들 아직도 대다수의 청년들은 정치권 밖을 멤도는 정치 백수들로 가득하다.

실로 높은 장벽을 절감하는 모습들이다. 경험과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 인정하는 부분이다.

아니 애써 인정하고 싶지 않아도 인정을 하는 것이 옳다고 해서 그렇다고 말하자. 

대한민국 사회에서 가장 부폐한 곳을 바로 정치판이라고 한다. 그렇게 봤고 그렇게 보인다. 또 그렇다. 구태 정치인들의 모습에서 우린 그렇게 봐 왔다. 어른들이 인정하고 싶지 않아도 이 말에 대한 또 다른 구태의연한 핑계는 말하지 않을 거라 본다. 그게 맞으니까.
 
청년의 정치가 그립다. 넥타이를 메고 정장을 차려 입은 모습의 정치가 아닌 청바지에 티 한 장을 걸치고 거리를 활보하는 역동적인 청년정치가 그립다.

청년이 하는 정치만이 청년 정치겠는가. 백발의 정치인이 국민을 위해 헉헉거리는 숨소리를 내며 뛰는 것도 청년 정치이다.

그렇게 대한민국은 깨끗하지만 늘 바쁜 청년정치가 그리운 때를 지나가고 있다.
나도 가끔 청년의 정치를 꿈꾸는 정치 백수가 되고 싶으때도 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