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질 확률이 높은 직업 비중 6%…근로자 1만명당 로봇 도입수 531대 '최고 수준'

한국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악영향이 가장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한국이 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4차 산업혁명 관련 악영향이 제일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근로자의 높은 교육수준과 자동화에 대한 선행투자 덕분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8일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보고서 등을 분석한 '4차 산업혁명의 고용 효과' 보고서에서 4차 산업혁명 이후 한국 노동시장을 전망했다.

OECD가 21개국을 분석한 결과 자동화로 사라질 확률이 70% 이상인 직업의 평균 비중은 9%로 나타났다. 독일, 오스트리아,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은 평균보다 높은 10% 이상이었다.

그동안 한국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국가로 여겨졌다. 하지만 한국은 사라질 확률이 높은 직업 비중이 6%로 연구대상국 중에서 오히려 가장 낮았다.

이는 작업장의 조직이나 자동화에 대한 선행투자, 근로자의 높은 교육수준 등이 향후 자동화 확률을 낮추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의 근로자 1만명당 제조업의 로봇 도입 수는 531대로 조사 대상 중에서 매우 높은 수준이다. 반면 주요 선진국은 ▲영국(71대) ▲오스트레일리아(86대) ▲스위스(119대) 등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미 자동화가 진행 중인만큼 타 국가에 비해 제조업에서 4차 산업혁명의 악영향을 받을 여지가 족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기술변화는 항상 신기술과 보완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일자리 파괴 효과를 완화시켜 왔으며 일자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신기술을 활용하는 직업으로 기본 인력이 재배치될 수 있다면 4차 산업혁명은 임금상승과 근로시간 단축을 가져올 수도 있다"며 "신기술 관련 직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육훈련 제도를 갖추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업무강도 약화와 더불어 양질의 일자리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