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미국 통상 압력 수위 높혀 가는데 삼성·롯데·SK 등의 주요 기업 총수는 발 묶여

'최순실 사태' 이후로 국내 주요 기업들이 반년째 발이 묶였다. /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지난해 9월경 시작된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대한민국 재계가 반년 가까이 발이 묶였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주요 대기업들은 지난해 10월 검찰 특별수사본부의 조사 대상에 올랐다. 그 이후로도 국회의 국정조사, 박영수 특검팀의 수사를 받은데 이어 최근에는 다시 2차 검찰 특수본 수사에 직면해 있다.

장기간 중복된 수사와 조사를 받게 되면서 기업활동은 제 기능을 멈췄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롯데 등 국내 기업들에게 노골적인 '사드(THAAD) 보복' 조치를 하고, 미국 행정부는 삼성·LG전자가 중국에서 생산한 가정용 세탁기에 반덤핑과세를 하는 등 통상 압력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대기업들은 지난 5개월간 대규모 압수수색과 총수의 출국금지, 소환 조사 등에 시달리면서 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을 벗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국내 대기업인 삼성은 총수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해 최지성 전 부회장 등 전·현직 수뇌부가 한꺼번에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이 와중에 삼성전자는 미국의 자동차 업체 '하만'의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총수 이재용 부회장의 부재로 인해 '합병 후 조직통합' 과정의 원만한 운영이 어려워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SK그룹은 전 세계 반도체 시장 판도를 바꾸기 위해 도시바 인수전에 뛰어들었지만 최태원 회장이 출국금지로 발이 묶이면서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

한편 롯데그룹은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현지의 롯데마트 점포(99개) 중 절반 이상이 문을 닫았다. 또한 국내에서는 2차 검찰 수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동빈 회장도 출국금지 상태에 있다.

이들 뿐만 아니라 현대차 등 다른 주요 기업도 2차 검찰 수사에 노출돼 있다. 특검이 이재용 부회장을 기소하면서 삼성이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 출연한 돈까지 뇌물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두 재단에는 19개 그룹의 50여개 기업이 774억원의 출연금을 냈다.

재계 관계자는 "그동안 반복돼온 수사와 조사로 본연의 기업활동이 크게 위축된 상태"라며 "하루빨리 대기업들이 정상적인 경영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 경제 발전을 위해서라도 이번 ‘최순실 사태’로 인한 후폭풍이 빨리 해결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