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소득 감소, 실업자수 증가, 가계부채 최대, 이자폭탄 부담까지…엎친데 덮친 가계 상황

여러 악조건 속에서 가계가 허리띠를 졸라매며 버티고 있다. /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국내 가계가 매우 암담한 상황에 처했다. 가계소득은 줄고, 일자리 구하기는 힘들면서 빚은 늘고 있다. 미국 금리 상승 소식으로 인한 ‘이자폭탄’도 걱정해야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명목·전국 2인가구 이상)은 439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0.6% 늘었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물가 인상률을 감안한 실질소득으로는 0.4%가 줄었다. 가계의 실질소득 감소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7년 만이다.

반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흑자액은 103만8000원으로 사상 최대치였다. 시원찮은 소득으로 인해 소비를 최소화한 결과다. 작년 가계 소비지출은 0.5% 줄었다. 관련 통계가 나온 2003년 이후 첫 감소다.

지난 2월 실업자 수는 135만명으로 외환위기 직후와 비슷한 수준이다. 2월 기준 199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다. 지난 2월 실업률로는 5.0%로 전년 대비 0.1% 상승했다. 2월 기준으로 지난 2001년 2월 이후 가장 높다.

가계부채는 지난 연말 1344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증가폭 또한 141조2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다.

문제는 한국의 가계부채가 경제규모에 비해 많을 뿐만 아니라 증가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작년 3분기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6%로 전년 대비 4.6% 상승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BIS가 자료를 집계한 43개국 중 8위, 이 비율의 증가 속도는 3위였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미국(79.4%) ▲유로존(58.7%) ▲일본(62.2%) ▲영국(87.6%)보다 높았다.

이런 상황에서 대출 금리까지 오름세다. 미국 기준금리는 점진 인상될 것으로 보이지만 국내 대출이자 상승 자체는 피할 수 없다.

한국은행은 대출금리가 1% 오르면 추가 이자부담이 9조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저신용, 저소득, 영세 자영업자들의 금리 부담은 더 늘어난다.

경제활동 성과인 전체 소득에서도 가계의 몫은 줄어들고 있다. 국민총소득에서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비중은 1997년 69.3%에 달했지만 2015년 62.0%로 하락했다.

소비의 주체인 가계의 위기는 소비→투자→고용→소비로 이어지는 경제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붕괴시킬 수 있다. 이는 경제 전체 위기로 확대될 수 있다. 경제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살리기 위한 가계소득 증대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