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2만달러 돌파 후 10년째 3만달러 고지 못 넘겨…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000달러대에 머물렀다. 그동안 1인당 GNI 3만달러는 한국이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기준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잠재성장률 하락 등 성장세가 약화되면서 3만달러 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561달러(3198만4000원)으로 전년(2만7171달러)보다 1.4%(390달러) 늘었다.
   
달러 기준으로는 1인당 GNI가 소폭 늘었지만 또다시 3만달러 달성은 무산됐다. 이로써 2006년 2만795달러로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하고 나서 10년째 3만달러 고지를 밟지 못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보통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환율의 영향도 1인당 GNI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줬다.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160.4원으로 전년보다 2.9%(28.9원) 상승했다.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달러화 환산 규모가 줄어든 것이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632달러로 2015년(1만5487달러)보다 0.9%(145달러) 늘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지표로 꼽힌다.

한은은 지난해 GDP 성장률 잠정치를 2.8%로 발표했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0.1% 포인트 상향조정됐다. 2015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잠정치보다 0.2% 포인트 높은 2.8%로 집계됐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조6374억원으로 2015년보다 4.7%(733억원) 늘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8%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가계순저축률은 8.1%로 2015년과 같은 수준이고 국내 총투자율은 29.3%로 0.4% 포인트 상승했다. 가장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2010=100)는 1.8% 올랐다.

박 전 대통령 탄핵안 인용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상당부분 해소되면서 올해 새롭게 수립되는 정부의 대처에 따라 내년에는 3만달러 고지를 넘을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