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제품 및 원자재 수출 덕분…"사드 보복 전 선주문 물량 때문일뿐 2분기 낙관 어려워"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중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경제 보복에도 지난 3월 한국의 대중 수출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14일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의 대(對) 한국 수입(한국→중국)액은 142억5933만 달러로 전년 동월보다 7.3% 늘었다. 중국의 한국 수출액도 93억229만달러로 13.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에 비하면 각각 9.8%, 41.8% 증가한 셈이다. 특히 한국으로부터 수입액은 지난해 11월부터 ▲0.2% ▲9.7% ▲13.4% ▲28.8% ▲7.3%로 5개월 연속 플러스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1∼3월 한국으로부터 누계 수입액은 13.2%, 수출액은 17.4%를 기록했다. 다만 3월 들어 중국 최대 수입 상대국은 미국(수입액 147억7801만달러)에 빼앗겨 2위로 내려앉았다.

이는 2월말 사드 부지가 확정된 후 본격화된 중국의 보복 조치와 불매 운동과 함께 수입통관이 지연되고 비관세 장벽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와는 다소 다른 결과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초반 대중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와 중국의 최근 경기가 호조를 띠면서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제품과 원자재 수출이 촉진된 것을 원인으로 꼽았다.

2017년도 1분기 對중국 수출 및 수입액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1.8로 4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 해관총서도 1분기 수출입 실적 기자간담회에서 철광석, 원유 등 자본재의 수입이 증가했다며 경기 호전 상황을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 석유화학 및 석유제품, 철강 등 한국산 중간재와 전자 부품을 중국도 외면하기 어려운 현실이 있다. 중국의 산업이 중간재와 원부자재 등을 해외에서 들여와 완제품을 수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한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44.1% 늘어난 76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전체 대중 수출품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1월 76.3%, 2월 75.7%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사드 보복 조치가 본격화되기 전 선주문한 물량이 반영된 결과일 뿐이라 안심하기엔 이르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여기에 사드 보복 리스크에 따른 대중 수출의 예측 불가능성이 확대하는 추세는 여전하다. 대중수출 증가속도도 점차 둔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코트라 상하이무역관은 "현장 상황은 상당히 어려운 편"이라며 "사드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소비재 분야를 중심으로 2분기부터는 수출 전망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