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소비자신뢰지수, OECD 32개국 중 30위…"주 원인은 불황으로 인한 소득 정체"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최근 수출·투자 중심으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소비심리는 여전히 OECD 최하위권 수준이다.

2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소비자신뢰지수(CCI)는 전달(98.81)보다 소폭 상승한 99.06였다. 지난달 OECD 평균은 100.56로 한국과 큰 차이를 보였다.

CCI는 향후 6개월 내 각국의 소비자 경기를 전망한 것으로 100 이상이면 호황, 100 이하면 침체를 뜻한다. OECD는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지수(CSI) 등 각국에서 발표하는 소비심리 관련 지수를 보정해 국가 간 비교 가능하도록 CCI를 산정한다.

한국의 CCI는 지난 1월 98.7로 바닥을 친 뒤 2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다.

그럼에도 지난달 한국의 CCI는 통계가 집계된 OECD 32개국 중 30위에 머물렀다. 지난달 기준 한국보다 CCI가 낮은 OECD 국가는 터키(96.76), 그리스(96.34) 등 2개 국가뿐이다.

한국이 다른 국가에 비해 CCI가 낮은 이유는 지난 연말 산업 구조조정,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 등 악재가 겹치면서 CCI가 큰 폭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100.09였던 한국의 CCI는 5개월 연속 하락했다. 결국 지난 1월에는 2009년 3월(97.74) 이후 약 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98.70까지 떨어졌다.

이후 지난 2월 소매판매가 넉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하고, 3월 소비 속보지표도 1년 전보다 대부분 증가했다. 그러나 이는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에 따른 기계적 반등 영향이 크다.

(연합뉴스=공감신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18일 발표한 올해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서도 차후 소비 둔화가 성장세를 제약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은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소비가 살아나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경기 불황으로 인한 소득 정체다. 지난해 가계의 월평균 명목 소득은 전년보다 0.6% 늘어나는 것에 그쳤다. 증가폭은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개별소비세 인하 등과 같은 소비 활성화 정책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는 점도 소비심리 회복의 걸림돌 중 하나로 제시됐다.

그 외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부담도 무시할 수 없다. 소비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단기적 진작책보다 구조적인 해법이 절실하다는 뜻이다.

정부 관계자는 "일시적인 소비 활성화 대책보다는 좀 더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