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주5일제 도입 이후 '격무 근로자' 감소세…지난해 주당 평균 근로시간, 43시간 수준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전체 근로자의 5명 중 1명은 주당 54시간 이상 격무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주5일제가 도입되면서 평균 근로시간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2010년 이후로 제자리 걸음인 상황이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주당 54시간 이상 일 한 근로자는 533만4000명이다. 이는 지난해 동월보다 50만7000명 늘어난 것이다.

주말은 쉰다고 가정했을 때 하루 절반인 11시간 가량을 일하면서 보낸다는 뜻이다. 최소한의 수면 시간과 평균 출퇴근시간을 고려하면 그 외 나머지 시간을 모두 일터에 할애하는 셈이다.

전체 취업자(2657만7000명) 대비 주 54시간 이상 근로자는 20.1%에 달한다.

물론 2000년대 초반에 비해서는 주 54시간 이상 근로자가 크게 줄기는 했다. 2000년 기준 주당 54시간 이상 근로자는 899만5000명으로 지난해(530만7000명)보다 1.7배나 많았다. 반면 전체 취업자는 2000년 2115만6000명으로 지난해(2623만5000명)의 80% 수준이었다.

전체 근로자 대비 54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도 동 기간 42.5%에서 20.2%로 반 토막 났다. 장시간 근로자가 줄어든 원인은 2004년 주 40시간 근무제인 주 5일제가 도입됐기 때문이다.

(연합뉴스=공감신문)

그러나 장시간 근로자 비중은 2010년 이후로 감소되는 속도가 완만해진다.

주 5일제는 2004년 7월 1000인 이상 사업장을 시작으로 ▲2005년 300인 이상 ▲2006년 100인 이상 ▲2007년 50인 이상 ▲2008년 20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산됐다. 그러다 2011년 5인 이상 사업장에 이르면서 전면 도입을 끝마쳤다.

주당 54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은 2000∼2011년까지 20% 내외에서 맴돌았다. 연도별로는 ▲2013년 21.5% ▲2014년 22.7% ▲2015년 21.9% ▲2016년 20.2% 수준이었다.

주당 평균 근로시간도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쭉 감소세를 이어갔다. 그러다 2013년 43.1시간을 기록한 후 ▲2014년 43.8시간 ▲2015년 43.6시간 ▲2016년 43.0시간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이제 특단의 조치 없이는 주당 근로시간이 감소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일자리 대책 중 하나로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를 제시한 것이다. 이에 주당 근로시간이 더 줄어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