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관계자 제보한 제작결함 의심 32건 조사…'자발적 리콜' 3건 및 '강제 리콜 명령' 5건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18일 기준 올해 국토교통부가 리콜 결정한 차량이 82만대로 집계됐다. 이와 같은  리콜 사태로 인해 자동차 품질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리콜 결정된 차량이 100만대가 넘어간 해는 2013년과 2015년이다. 그 해 각각 103만대가 리콜 결정됐다.

지난 2013년에는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불량이 발생한 현대·기아차 19개 차종 82만5000대를 대량 리콜했다. 지난 2015년에는 르노삼성자동차의 SM3·SM5 엔진마운트 고정볼트 결함으로 39만2000대를 리콜한 바 있다.

국토부가 지난해 리콜결정 한 차량은 62만대로 전년보다 감소했다. 그러나 ▲2009년 15만9000대 ▲2010년 27만대 ▲2011년 26만8000대에 비하면 대폭 증가한 것이다.

올해도 벌써 82만대가 리콜 결정됐기에 연말까지는 확실히 100만대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현대차 김광호 전 부장이 제보한 32건의 제작결함 의심사례를 차례로 조사 중이다.

이미 32건 중 3건은 현대·기아차가 자발적으로 리콜했으며, 5건은 국토부가 강제리콜 명령을 내렸다. 9건의 경우 국토부가 공개 무상수리를 권고했다.

(연합뉴스=공감신문)

현재 현대·기아차가 자발적 리콜한 세타2 엔진결함 차량이 17만대, 국토부가 강제리콜 명령을 내린 5건은 24만대에 달해서 전반적인 리콜 대수가 늘었다.

국토부는 특히 ▲쏘렌토 에어백 클락 스프링 경고등 점등 ▲제네시스 ECU 불량으로 인한 시동꺼짐 ▲봉고3 ECU불량으로 인한 시동꺼짐 등 3건에 대해서 추가 조사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리콜 여부가 결정되는 만큼 리콜 대수는 더욱 늘어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량 리콜사건 발생 여부에 따라 연간 리콜 대수가 들쭉날쭉하기는 하지만, 과거보다 전반적으로 늘었다"며 “안전문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민감도가 높아졌고, 자동차 부품·기술 수준도 발달하면서 리콜 요인도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리콜 결정된 차량 중 실제 리콜조치 받은 차량은 ▲2013년 96만대 ▲2014년 79만대 ▲2015년 85만대 ▲2016년 36만대이다.

이러한 결함 우려에 대해 선제 대응하기 위해 올 7월 18일부터는 '자동차 결함 조기경보제'가 도입된다.

자동차관리법 개정으로 자동차 제작사는 무상수리 등을 목적으로 자동차정비업자와 주고받은 기술정보자료를 모두 국토부에 제출해야 한다. 자체 또는 외부 요청으로 조사한 자동차 화재·사고 관련 기술분석자료도 마찬가지다.

국토부는 제출된 자료가 연간 수백만건에 이를 것이라 보고 있다. 이 자료를 분석해서 결함 관련한 경향성을 발견하면 경고하는 등 선제 조치에 나선다. 이를 위해 제작사들이 바로 자료를 제출할 수 있도록 전산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