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실종 상태인 실종아동 46명…유전자검사·지문 등 사전등록제 적극 홍보 필요

지난해 실종된 18세 미만 아동의 수가 약 2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신문] 지난해 실종된 18세 미만 아동의 수가 1만9870명으로 집계되며 전년 보다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오는 25일 ‘실종아동의 날’을 맞아 이 같은 실종아동 관련 수치를 집계해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실종아동은 2012년(2만7295명)부터 2015년(1만9428명)까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6년 전년 보다 442명이 증가했다.

지난해 실종된 실종아동 1만9870명을 포함해 지적·자폐·정신장애인, 치매 환자를 모두 합치면 3만8281명이며, 이 가운데 90명이 아직까지 가족에게 돌아가지 못한 실종 미발견자다. 90명 중 찾지 못한 실종아동은 46명이다. 

실종 미발견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가족의 곁으로 돌아오며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매년 20명 내외는 안팎은 장기 실종자로 남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장기 실종자를 줄이기 위해 지난 2004년 ‘유전자검사’를 도입했고, 이어 2012년에는 ‘지문 등 사전등록제’를 도입했다. 

사전등록제는 아동, 지적·자폐·정신장애인,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사전에 지문이나 사진과 같은 정보를 등록해 실종자를 찾는데 있어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실제로 지문 등을 사전에 등록한 실종자의 경우 보호자에게 인계된 시간은 평균 1시간 미만이었다. 반면, 등록하지 않은 실종자의 경우에는 무려 94시간이 걸렸다. 아울러 이들 장치를 통해 지금까지 실종아동 402명을 포함해 총 681명의 신원을 확인한 바 있다.

매년 5월 25일은 '한국 실종아동의 날'이다.

이 같이 지문 등 사전등록제는 실종을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이다. 8세 미만의 아동의 등록률은 73.1%로 높은 편이지만 지난 4월 기준 전체 등록대상자 948만4049명 중 33.1%에 해당하는 314만2554명만이 등록을 마친 상태다. 해당 제도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홍보가 더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정부는 실종 가족의 유전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뒤 보호시설에서 생활하는 무연고자의 유전자와 대조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지금까지 아동 257명, 지적장애인 140명, 치매 환자 8명 등 405명을 보호자에게 돌려보낸 바 있다. 

한편, 오는 5월 25일인 실종아동의 날은 지난 1979년 5월 25일 미국 뉴욕에서 6세 아동이 등교 중 유괴·살해당한 사건을 계기로 1983년 제정됐다. 

현재 세계 각국이 동참하고 있고,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이날을 '한국 실종아동의 날'로 정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