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저출산에 2020~2029년 생산인구 연평균 33만명씩 감소…정부 인구정책 TF 구성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생산 연령인구는 내년부터 연평균 32만5000명씩 줄어든다. 당장 내년 생산연령인구는 23만2000명 감소한다.

[공감신문] 유안나 기자=내년부터 한국경제의 성장을 이끄는 15~64세 생산연령인구가 연평균 33만명씩 급감할 전망이다. 연평균 65세 인구는 늘어나는 반면, 유소년 인구는 줄어드는 영향이다. 

2일 통계청의 2017~2067년 장래인구특별추계에 따르면 중위 추계기준 우리나라의 생산 연령인구는 2020~2029년 연평균 32만5000명씩 줄어든다. 당장 내년 생산연령인구는 23만2000명 줄어 감소폭이 올해(5만5000명)의 4배 이상으로 확대된다. 

이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고령 인구로 본격 진입하면서 65세 이상 인구가 연평균 48만명씩 늘어나는 반면, 초저출산으로 생산연령인구로 진입해야 할 0~14세 유소년인구는 연평균 13만5000명씩 줄어드는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연간 생산연령인구 감소폭은 2020년~2023년 20만명대, 2024년 30만명대를 거쳐 2025~2026년에는 40만명대로 늘어난다. 이후 2027~2029년에는 30만~40만명대를 웃돌다가 2030년대에는 연평균 52만명대로 확대된다. 

생산연령인구 감소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늘어나는 반면, 0~14세 유소년인구가 줄어들면서 나타난다.

생산연령인구 추계치를 보면 올해 3759만명에서 2029년 34333만9000명으로 10년 새 325만명 줄어든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당장 주된 고용지표인 취업자수 증가폭에 영향을 주고, 베이비붐 세대가 대거 은퇴해 노인 인구에 편입된다면 소득이 급감하면서 소비도 감소해 경제성장에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이달 말 고용·재정·복지·교육·산업·국토·국방·금융·지역 등 분야별 정책과제를 발표할 방침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고용률을 높이는 노력을 통해 생산가능인구 급감을 완충해야 할 것”이라며 “여성과 노인들이 노동시장으로 더 들어올 수 있게 일자리가 계획보다 더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