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만족도 높이기 위해 진료시간도 늘어나야, 환자들이 원하는 진료시간 최소 8.9분

[공감신문] 국내 종합병원의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이 6.2분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들이 원하는 진료시간인 최소 8.9분에 못미치는 것으로 진료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진료시간도 늘어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연구팀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진찰료 산정기준의 변경이 어렵다면, 현재의 일률적인 진찰료 산정방식에 진료시간에 따른 보상이라도 추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강중구 교수팀은 지난해 8월 병원 초진환자와 보호자 612명(평균 나이 44.8세)을 대상으로 1인당 평균 진료시간과 만족하는 시간, 추가 비용 지출 의사 등을 조사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8일 밝혔다. 

초진환자는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진료 의사와 처음 만나는 경우를 말한다. 초진환자는 본인의 증상을 가급적 자세히 의사에게 설명하고, 의사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하지만 의료계의 입장은 다르다. 우리나라의 경우 초진환자의 외래 진찰료가 낮아 병원 운영을 위해 제한된 시간 내에 가능한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상황으로 초진환자에 많은 진료시간을 할애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연구팀의 조사결과를 분석해보면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은 6.2분이었다. 환자가 만족하는 진료시간은 평균 8.9분으로 평균 진료시간과 2.7분의 차이를 보였다.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인 6.2분은 지난 2015년 국정감사에서 발표된 전국 10개 국립대병원의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 7.4분보다 짧은 수치다. 당시 서울대병원은 4.3분으로 국립대 병원 가운데 최단 시간 환자를 진료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진료과목별 진료시간은 정신건강의학과와 일반외과의 실제 진료시간이 각각 13.9분, 9.0분으로 가장 길었다. 가장 짧은 과목은 정형외과로 환자 1인당 3.7분을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환자가 많은 내과의 경우엔 평균 5.4분을 진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자들은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시간을 가장 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시간은 평균 16.2분으로 의사와의 장시간 상담이 매우 중요한 정신과의 특성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환자들이 평균 10분 이상 진료가 필요하다고 꼽은 과목은 일반외과 10.0분, 산부인과 10.2분, 재활의학과 10.2분 등이었다. 내과의 경우 7.9분으로 진료시간을 약 2.5분 늘려야 환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의 조사결과,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은 6.2분이었다. 환자가 만족하는 진료시간은 평균 8.9분으로 평균 진료시간과 2.7분의 차이를 보였다.

또 환자들은 만족하는 진료시간을 위해서 추가 비용을 부담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진료시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약 6000원을 추가 부담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응답자 62.3%, 612명 중 381명은 자신이 만족하는 진료시간을 위해 본인 부담금을 평균 5853원 더 지급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사를 밝힌 환자들이 원하는 진료시간은 10분으로 조사됐다. 

환자들의 이러한 요구반영을 위해 의료계는 평균 진료시간을 늘리려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심장클리닉 초진환자 진료시간을 15~20분을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또 서울대병원은 9월부터 11개 진료과목에서 ‘15분 진료’를 1년간 시범적으로 시행하겠다는 계획이다.

연구팀은 “진료시간이 늘어나는 만큼에 대해서는 충분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면서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진찰료 산정기준의 변경이 어렵다면, 현재는 일률적인 진찰료 산정방식에 진료시간에 따른 보상이라도 추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보건행정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