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 폭우 및 폭염 영향으로 신선채소 등 높은 상승률 기록

[공감신문]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3배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커지는 가운데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의 한숨이 늘고 있다.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의 한숨이 늘고 있다.

통계청은 OECD의 자료를 분석해 우리나라의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이 5.6%로 OECD 회원국 평균(1.7%)의 3.3배에 달한다고 10일 밝혔다.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 상승률은 OECD 내에서 터키(10.1%), 멕시코(9.7%), 라트비아(6.6%), 체코(5.8%)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스페인(0.1%), 미국(0.3%), 스위스(0.3%), 일본(0.6%), 노르웨이(0.7%), 이탈리아(0.9%) 등은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0%대에 그쳤고, 캐나다(-0.1%), 이스라엘(-1.0%), 핀란드(-1.5%), 그리스(-1.5%), 아일랜드(-2.0%), 아이슬란드(-4.3%) 등은 오히려 물가가 떨어지며 국내의 상황과 상반되는 모습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이 5.6%로 OECD 회원국 평균(1.7%)의 3.3배에 달한다.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가 이들 국가와 달리 급격하게 오른 이유는 지난 여름 폭우, 폭염에 따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폭우, 폭염 등 기후적인 요인으로 인해 신선채소와 과실 등의 생산량이 급격히 줄며 물가는 반대로 상승했다.

식료품 항목별 7월 물가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보면 우유·치즈 및 계란(12.8%), 과일(18.2%), 채소 및 해조(10.5%) 등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달걀이 64.8% 오르면서 급등세를 이어갔고, 오징어(50.8%), 감자(41.7%), 호박(40.5%) 등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7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한국이 2.2%로 OECD 회원국 평균(2.0%)보다 높았다. 국내 소비자물가가 OECD 평균보다 많이 오른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채소류와 계란 등 신선식품 가격이 많이 올라 전반적인 식료품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며 “식료품 물가 상승은 가뜩이나 얇아진 가계의 지갑 사정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소비자물가가 OECD 평균보다 많이 오른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같은 식료품 물가 상승세에도 가계소득은 제자리 걸음이다. 지난 2분기 전국가구 기준 월평균 가계소득(2인 이상·명목)은 434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9% 증가하는데 그쳐 8분기 연속 0%대 증가율에 머물렀다. 물가지수를 감안한 실질소득은 1.0% 줄며 7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