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전 실장, 논란 빚은 시누크 헬기에 이어 사막에 방치된 해상초계기 구입하려 해

[공감신문] 김관진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국방부 장관으로 재임하던 2012년, 우리 해군이 전력증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미군의 해상초계기 12대를 구입하려 했던 정황이 드러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앞서 김관진 전 실장은 국방부 장관 시절 정상적인 운용을 의심받은 중고 시크누 헬기를 14대나 구입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철희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철희 의원(비례대표)은 “미군이 30~40년 운용한 후 도태시켜 사막에 방치한 해상초계기 12대를 장관(김관진 전 실장)의 지시에 따라 2012년 8000억이 넘는 예산을 들여 구입하려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이철희 의원이 확인한 결과, 해상초계기는 2010년 천안함 폭침 이후 우리 해군의 대잠능력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구입이 논의됐다.

하지만 2012년 9월 해군의 소요제기 절차도 없이, 김관진 당시 국방부 장관은 적 잠수함 도발에 대책을 강구하는 TF(태스크포스) 편성을 지시했다.

이에 TF는 미군의 특정 해상초계기의 확보를 그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해당 해상초계기는 미군이 사용하지 않아 사막에 사실상 방치돼 있었다.

이후 김관진 장관의 지시 아래 해상초계기 도입은 해군이 합동참모본부에 소요를 제기하면서 속도감 있게 진행됐다.

그러나 지난해 8월, 해상초계기의 운용유지 문제와 기체 수명 등의 논란이 제기됐고, 국방부는 결국 도입을 취소했다.

김관진 전 청와대 안보실장

이 의원은 이 같은 내용의 자료를 공개하며 “해상초계기(S-3B) 도입 사업은 중고 대형기동헬기(CH-47D)와 ‘닮은 꼴’인 것으로 확인했다”며 “두 사업 모두 미군의 잔존수명이 의심스러운 노후 장비를 도입하는 사업”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S-3B는 2009년 전량 도태돼, 미국 애리조나 사막에 오랫동안 버려져 있었다는 점에서 위험은 더 컸다. 이미 수리부속 등 모든 생산라인이 폐쇄됐기 때문에 우리 해군에 도입됐다면 수리부속 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이런 상황도 앞서 도입한 시누크 헬기 상황과 매우 흡사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행히 미수에 그쳤지만, 중고 시누크 헬기 14대를 사는데 1500억원을 낭비한 사업과 마찬가지로 장관지시로 짜여진 각본에 따라 일사천리로 진행됐다”며 “이 두 사건 모두 철저한 수사를 통해 진상을 밝히고, 책임자를 엄벌해야한다”고 비난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