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해양교육 활성화 위한 토론회’ 열려...한국, 해양교육·인식 수준 낮아

[공감신문] 지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다를 제외한 지구의 상당 부분은 인류의 손에 의해 개척됐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해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선점하기 위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를 증명하듯 OECD는 2030년에는 해양경제가 현재의 두 배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국내는 해양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제대로 된 해양개발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비단 대다수 국민들의 인식 부족뿐만 아니라, 해양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환경이 열악한 것도 하나의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1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과 오영훈 의원 주최로 '해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은 참석자 단체 사진.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과 오영훈 의원은 1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해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는 해양산업을 양성하기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세계의 추세에 한국도 발 빠르게 대응하는 방안으로 ‘해양인재 양성 공교육’의 필요성과 국내 해양교육 실태를 되짚어보기 위해 열렸다.

이를 위해 토론회에는 국회의원, 정부부처 대표, 교수, 유관 기관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주제발표 및 토론을 진행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 “재조해양(再造海洋)의 마음으로 해양수산 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정부는 문 대통령의 뜻대로 해양 관련 분야 부흥을 위해 수산·해운·항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양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는 해양교육을 담당하는 전문 기관이 전무한 상황이다. 해양수산부와 교육부가 있지만, ‘해양교육’에 특화된 소속부처나 외부기관 없다.  

최성애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아카데미 학장

최성애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아카데미 학장은 “KMI에서 해양교재 제작, 시범학교 지정 교육, 교사 연수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효과가 미미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중국과 일본 미국 등 주변 국가들의 경우 정부주도 하에 해양교육을 추진 중이다. 

최성애 학장은 “중국은 1000조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을 해양경제에 쏟아붓고 있고, 일본은 정부와 학계가 해양 공교육 기틀을 닦았고, 미국은 정부주도 캠페인, 해양 교육기관 설립 등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해외의 사례를 참고해 국내도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인재양성을,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체계 확립을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수부·교육부 등 정부부처간 연계, 정부와 학계, 해양 유관기관 등이 함께 정보를 공유하고 교육체계부터 확립해야 한다.

발표 중인 최성애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아카데미 학장

최성애 학장은 국내 해양교육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해양교육센터 설립 ▲해양교육 환경 및 기반조성 ▲법제도 수정 및 보완 등을 제안했다.

정부는 문 대통령이 천명한 바와 같이 막대한 국익이 걸린 해양산업 발전을 위해 ‘해양교육’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부터 주도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