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화에 따른 지반 침하 앞에 내진설계 무용지물…정부 차원 정밀조사 시급

[공감신문] 지난 15일 경북 포항에서 일어난 강도 5.4의 지진 이후 ‘액상화 현상’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각종 매체에서 등장하고 있다. 

액상화 현상은 강한 지진으로 지면 아래 있던 흙탕물이 지표면 위로 솟아올라 땅이 흐물흐물한 액체처럼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포항 지진 이후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로 인해 건물이 내려앉거나 쓰러질 수 있다는 전문가 분석까지 나오면서 지진의 피해규모를 더 확대시키는 것은 아닌지 시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포항시 한동대학교 건물에 지진 피해 흔적

액상화 현상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난 19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부산대 손문 교수팀은 이번 지진의 진앙인 포항시 흥해읍 망천리 인근 지역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에 따르면 액상화 흔적은 다양한 곳에서 여러 형태로 드러났다. 진앙에서 1∼2㎞ 떨어진 논 틈새 주변으로 모래, 자갈 등 퇴적물이 지면 위로 올라왔다. 이 퇴적물은 250만년 전부터 땅속에 쌓인 것으로 기존 진흙과 차이가 컸다.

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액상화 현상이 나타난 것은 지진이 발생하며 땅 속에서 강한 압력이 발생하며 땅 속 물이 모래, 자갈 등을 들어 올렸기 때문이다. 

이같은 액상화 현상이 지진의 피해규모를 확대시킬 가능성이 있다. 땅을 받치고 있던 물과 흙 등이 지면 위로 솟구치며 원래 있던 자리가 비게 되면서 지반이 내려앉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건물이 내려앉거나 쓰러질 수 있다.

진앙 인근뿐만 아니라 다소 거리가 있는 곳에서도 액상화 현상이 나타나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

진앙 주변 2km 반경에서 흙탕물이 분출된 곳은 100여곳에 달했고, 진앙에서 5.5km나 떨어진 바닷가 인근에서도 액상화 현상이 나타났다.

진앙 주변 2km 반경에서 흙탕물이 분출된 곳은 100여곳에 달했고, 진앙에서 5.5km나 떨어진 바닷가 인근에서도 액상화 현상이 나타났다. 

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는 “액상화 현상이 발생한 5.5km 반경의 모든 지역이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지반이 내려앉을 수 있는 작은 가능성이 있는 만큼 지하시설물의 안전은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외의 경우 강진 이후 나타난 액상화 현상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1906년 일어난 지진에 이어 액상화 현상이 나타나며 3000명의 사망자와 20만명 이상의 이재민을 발생시켰다.

중국 탕산에서 1976년 일어난 탕산 대지진의 경우에도 액상화 현상으로 인해 건물이 내려앉고 휩쓸리며 24만명이 사망했다. 

액상화 현상은 강한 지진으로 지면 아래 있던 흙탕물이 지표면 위로 솟아올라 땅이 흐물흐물한 액체처럼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나라도 이번 포항 지진 외에 조선시대에 액상화와 비슷한 현상이 있던 기록이 있다. 하지만 근대에 들어 관측된 것은 처음으로 액상화 현상 이후 피해가 커진 최근 세계 사례들을 거울로 삼아야 할 것이다. 

더욱이 액상화로 인해 지반이 내려앉을 경우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적용된 건물이더라도 무너질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정밀조사가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