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첫째 주 일본노선 탑승률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3% 감소...7월 마지막 주는 12%포인트↓

한일관계 악화와 이에 따른 항공 수요를 고려해 국내 항공사들은 지난달 말부터 경쟁적으로 일본 노선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공감신문] 유안나 기자=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한 반발로 국내에서 일본 여행 거부 움직임이 확산하는 가운데 실제 여름휴가철 일본을 오가는 여객기 탑승률이 10%포인트 이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발맞춰 항공사들은 일본 노선에서 운항중단과 감편을 결정, 중국·동남아 등 대체 노선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14일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일본노선 주간 항공운송 실적’에 따르면 8월 첫째 주(4~10일) 일본노선 탑승률은 71.5%로 지난해 같은 기간(84.5%)보다 13%포인트 줄었다. 

한 주 전인 7월 마지막 주(7월 28일~8월 3일) 탑승률이 75.7%로 전년(87.7%) 대비 12%포인트 감소한 데 이어 감소 폭이 더 늘어난 셈이다. 

7월 마지막 주와 8월 첫째 주 ‘휴가철’ 기간에 탑승률이 80% 중·후반대를 보였던 1~2년 전과 비교하면, 올해 해당 기간 탑승률이 70% 초·중반대에 머문 것은 이례적이다. 

7월 첫째 주∼8월 첫째 주 탑승률은 78.5%에서 78.8%, 76.2%, 76.2%, 75.7%, 71.5%로 7월 마지막 주와 8월 첫째 주 들어 급격하게 꺾인 곡선을 나타냈다. 

작년 같은 기간 탑승률이 77.1%에서 79.5%, 79.7%, 82.2%, 87.7%, 84.5%로 7월 마지막 주 급상승했다가 8월 첫째 주 소폭으로 꺾인 것과는 차이가 있다. 

지난 4일 인천국제공항 한 국내 항공사 카운터가 일본행 항공기 탑승수속시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일관계 악화와 이에 따른 항공 수요를 고려해 국내 항공사들은 지난달 말부터 일본 노선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달 29일 부산~삿포로 노선 운항 중단을 결정한 이후 노선 중단, 노선 감편 등에 돌입한다. 

내달 16일부터 대한항공은 부산~오사카 노선 운휴에 들어가며, 11월 1일부터는 제주~나리타 노선, 제주~오사카 노선도 운항을 멈춘다. 

또, ▲인천∼고마쓰(小松) 노선 ▲인천∼가고시마(鹿兒島) 노선 ▲인천∼아사히카와(旭川) 노선도 운항을 내달부터 중단할 예정이다. 

아울러 대한항공은 인천을 기점으로 운항하던 일부 노선을 감편한다. 인천∼오키나와 노선과 부산∼나리타(成田) 노선, 부산~후쿠오카 노선 횟수가 줄어들 예정이다.  

국내 항공사 중 일본 의존도가 가장 높은 에어서울은 지난 13일 현재 운영 중인 일본 노선 중 5개에 대한 운항 중단 및 감편 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에어서울은 전체 노선의 60% 이상을 일본 노선으로 채우고, 매출의 절반 이상이 일본 노선에서 나오는 구조다. 

이에 따라 에어서울은 다음달 16일부터 도야마(富山) 노선에서 비행기를 빼고, 10월 27일부터는 구마모토(熊本), 우베(宇部) 노선에서 철수한다. 

또한, 오사카(大阪) 노선 운항을 현재 주 14회에서 주 9회 줄이고, 요나고(米子) 노선은 주 6회 운항에서 주 3회로 감편한다.

한산한 일본행 항공 터미널 모습

에어부산은 부산∼후쿠오카 노선을 이달 25일부터 주 28회 운항에서 14회로 줄이고, 부산∼오사카 노선도 27일부터 주 21회에서 14회로 감편한다고 9일 밝혔다. 

주 7회 운항하는 부산~삿포로 노선은 이달 23일부터 주 3회로 절반 이상 줄이기로 했다. 

대구 출발 노선도 당초 도쿄, 오사카에서 삿포로, 기타규슈 노선까지 감축 또는 비운항을 확대할 예정이다

에어부산이 이번에 조정한 운항 일정은 하계 운항 기간인 10월 26일까지 적용한다. 

제주항공은 일본 노선 운항을 35% 감축한다. 

제주항공은 다음달 25일부터 10월 26일까지 9개 일본 노선에서 운항 편수 줄이기에 나선다. 이 기간 9개 일본 노선 운항 계획은 당초 총 789편에서 507편으로, 35.7%(282편)이나 줄어든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적사들이 일본노선 여객 급감으로 악화된 수익성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며 “올해 5월 한중 항공회담 이후 국토부가 배분한 중국 운수권을 바탕으로 중국 취항을 늘리고 동남아 등 대체 노선을 개척해 활로를 찾느라 분주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