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이상 실업자 비중 14.3%, 17년 만에 최대…고용한파 장기화로 누적실업자↑ 일자리 질↓

[공감신문] 6개월 이상 구직활동을 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백수’가 지난해 사상 최대 수준으로 늘어났다. 최근 몇 년째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고용한파가 지속되면서 누적 실업자가 많아졌을 뿐만 아니라, 일자리의 질도 나빠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년 넘게 구직활동을 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백수'가 작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6개월 이상의 구직기간을 가진 실업자는 전년(13만3000명)대비 10.5%(1만4000명) 늘어난 14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0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것이며,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 8만명)나 외환위기(2000년, 13만8000명) 당시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전체 실업자 중에서 6개월 이상의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4.3%였다. 이 역시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최대치로, 2000년 당시 14.1%의 기록을 17년 만에 깬 것이다. 

장기백수의 비중은 외환위기 여파가 남아있던 2000년대 초반 두 자릿수까지 오른 뒤 2010년 7.0%로 떨어졌다. 이후 쭉 한 자릿수를 유지하다가 2014년 7.5%를 마지막으로 2015년 10.0%, 2016년 13.1% 등 3년 만에 2배 가까이 뛰어올랐다. 

이처럼 장기 백수가 늘어나는 데는 최근 몇 년간 청년 고용시장에 불어 닥친 한파가 가라앉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몇 년간 청년 고용난이 심해지면서 장기백수도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청년(15~29세)층의 실업률은 2014년 9.0%에서 지난해 9.9%까지 연속 4년째 신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장기백수의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나 위환위기 당시보다 더 확대된 것 또한 청년 고용난이 길어지면서 실업자가 누적된 상황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장기백수가 늘어나는 것은 그만큼 일자리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대기업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상당수의 장기 실업자들이 원하는 직장을 찾지 못해 구직활동 기간이 더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에서다. 

여기에 일시적으로 구직을 포기하고 취업준비생 등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됐다가 취업에 재도전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제 장기백수 비중은 집계보다 더 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같은 장기 실업 상황은 여전히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아 더욱 막막한 상황이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경제성장속도가 빨라졌다고는 하지만 이 같은 성장세가 고용을 유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도 아쉬운 점이다. 또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의 노동 정책이 기업과 화음을 이루고 있지 못하는 점도 고용난을 개선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장기 실업 상황은 개선세의 여지를 보이지 않고 있어 더욱 막막하다.

이처럼 일자리 개선이 막막한 상황에서 에코세대의 2차 대규모 노동시장 진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고용 상황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올해 1분기 졸업·채용 시즌 청년 고용여건이 악화할 수 있다.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등으로 고용 기반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