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시장 공략 가능한 의약품·의료기기 기업 육성…2022년 세계시장 점유율 4% 달성 목표

전국 병원에 축적된 환자 정보 등 방대한 의료 빅데이터를 신약 및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공감신문] 전국 병원에 축적된 환자 정보 등 방대한 의료 빅데이터를 신약 및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고, 단계별 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의약품·의료기기 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에서 '바이오·헬스 업계 간담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현재 국내 의약품, 의료기기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1.8%에 불과하다. 정부는 점유율을 오는 2022년까지 4%로 확대하고, 그에 따른 일자리 3만5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올해 상반기 6개 병원을 선정해 1000만명에 달하는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유전체·생체정보를 포함한 '보안형 바이오 빅데이터'를 마련한다. 이 자료는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주요 질병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 데이터를 갖고 있다. 세계 최고의 병원 정보화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방대한 디지털 의료 데이터는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고 말했다.

또 고령자와 만성질환자의 혈압, 혈당 등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이상 징후를 예측해주는 서비스를 산업부는 시범·운영할 예정이다. 

이때 병원이 보유하고 있는 의료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기업에 넘기는 대신 병원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만 제공하기로 했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 데이터를 갖고 있다. 세계 최고의 병원 정보화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방대한 디지털 의료 데이터는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자동차, 통신, IT, 화장품 등 다른 산업과 협업을 통해 새로운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자동차가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감시하다가 이상 징후를 포착하면 경보를 울리거나 119에 연락하는 등 ‘원스톱’ 기능을 차에 탑재하는 등 기존에 없던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비스 개발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해소하고, 일정 기간 규제 없이 사업할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개인건강정보, 날씨, 환경 등 모든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을 2020년부터 시행한다. 

새로운 기능과 편의를 더한 '수요자 맞춤 의료기기' 개발과 인공지능(AI)·로봇·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 생산원료, 장비, 물류 등의 전·후방 산업 경쟁력 강화도 지원한다.

이밖에 세계적인 수준의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글로벌 바이오스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기업의 신약 연구개발과 사업화, 해외진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새로운 기능과 편의를 더한 '수요자 맞춤 의료기기' 개발과 인공지능(AI)·로봇·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 생산원료, 장비, 물류 등의 전·후방 산업 경쟁력 강화도 지원한다. 아울러 지역별로 강점과 기존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클러스터를 육성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