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진미륵’으로 불리는 국내 최대규모 석불, 높이 18.12m 달해…문화재청 “불교조각 재평가 기대”

[공감신문] 1000년 전에 만들어진 국내 최대 규모의 석불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 국보로 승격된다. 

충남 논산시 은진면에 위치한 미륵보살입상으로 ‘은진미륵(恩津彌勒)’이라 불리는 이 불상은 고려 제4대 임금 광종(재위 925∼975) 연간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재청은 13일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국보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은진미륵은 18.12m의 높이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지난 1963년 보물 제218호로 지정됐던 은진미륵은 18.12m의 높이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경주 석굴암 보존불이 받침인 대좌를 포함한 높이가 5m에 달하는데 이보다 3배 이상 큰 것이다. 

이 석불은 이마에 있는 백호(白毫, 미간 사이 털)를 수리하는 과정에서 ‘정덕 16년 신사 4월 15일(正德十六年辛巳四月十五日)’라 기록된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며 968년(고려 광종 19년)에 조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얼굴에 비해 몸이 작은 편이다. 머리에는 높은 관을 쓰고 있어 전체적으로 균형이 맞지 않아 어색한 느낌을 주는데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는 모습이 특징이다. 

이러한 경향은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扶餘 大鳥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보물 제217호)이나 논산 개태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論山 開泰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보물 제219호)에서도 확인되며, 고려 초기 충청도 지방에서 구현됐던 대형 석불의 양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석불의 이마에 있는 백호(白毫)를 수리하는 과정에서 ‘정덕 16년 신사 4월 15일(正德十六年辛巳四月十五日)’라 기록된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며 968년(고려 광종 19년)에 조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륵보살은 석가에 이어 미래에 출현하는 부처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세를 구원하는 희망의 신앙으로 수용됐다.

이 불상은 고려시대 후기 승려 무의가 쓴 '용화회소', 고려 문신 이색(1328∼1396)의 '목은집', 조선시대 인문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기록이 남아 있는데, 968년께 고려왕실의 지원을 받아 승려 조각장 혜명이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제되고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한 통일신라시대 불상과는 달리 압도적 크기와 육중함, 파격적이고 대담하며 지역성이 돋보이는 미감을 구현했다.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얼굴에 비해 몸이 작은 편이다. 머리에는 높은 관을 쓰고 있어 전체적으로 균형이 맞지 않아 어색한 느낌을 주는데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는 모습이 특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은진미륵은 우리나라 불교신앙과 조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유물이다. 독창성과 완전성을 갖춰 국보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월등한 가치를 지닌 고려 불상으로 국보로 승격함으로써 이 시대 불교조각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보 가운데 고려시대 불상은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제45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제48-2호),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제58호), 금동삼존불감(제73호),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제124호),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제308호) 등 6점밖에 없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 기간에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국보 지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