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개 재생사례와 사업 배경·과정 담겨...서울시 “서울형 도시재생 모델 확장”

[공감신문] 서울시가 세운상가, 마포 문화비축기지, 해방촌 등 시내 131개 도시재생 사업을 총망라한 백서를 낸다.

서울형 도시재생을 다른 도시로 확산시키겠다는 포부가 담긴 백서에는 각 지역에서 도시재생을 진척시킨 과정과 노하우가 포함될 예정이다.

서울도시재생포털이 제공한 '도시재생 우선추진지역 선정' 자료.

서울시는 시 도시재생본부가 다음달 초 도시재생 백서인 ‘서울 꿈틀, 재생꿀팁’을 발간한다고 22일 밝혔다.

백서에는 각 도시재생 사업의 배경과 과정이 담겼다. 사업에 직접 참여한 공무원, 코디네이터, 활동가, 교수 등의 인터뷰를 통해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갔는지에 대한 ‘꿀팁’도 소개됐다.

서울의 대표적 도시재생 공간을 둘러볼 수 있는 테마별 투어코스도 포함됐다.

서울시는 올해를 도심 위주 도시재생을 통해 주거지, 역사문화 명소를 확장하는 원년으로 정했다. 광화문 광장, 영등포, 용산전자상가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목표다. 해방촌, 가리봉 등은 주거지도 사업 대상에 포함됐다.

세운상가 재생사업 실무자인 이창구 서울시 다시세운사업팀장은 빠른 이견 조율과 피드백을 강조했다.

이 팀장은 “에스컬레이터 설치를 반대하는 세운상가 상인들을 무작정 말로 설득하기보다는 에스컬레이터 설치 시 매출 증가 사례를 데이터화해 제시했더니 합의가 됐다”며 “4개월간 합의를 보지 못하던 주차공간 확보는 주변 건물과 경찰서의 협조까지 얻어 4가지 대안을 만들어낸 끝에 풀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낙후되어 있었던 세운상가 일대는 서울시의 도시재생 사업으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서울시의 도시재생 역사는 10년이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급증으로 서울이 아파트 숲이 된다는 우려가 커지던 지난 2008년 ‘대안적 시도’로 시작됐다.

시행 초기에는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가 목표였다. 주로 주민 투표로 3층까지 지을 수 있는 건물을 2층까지만 짓고, 담장을 허물어 골목길을 넓히는 등의 작은 사업으로 시작됐다.

도시재생 사업은 뉴타운 재개발 사업으로 불이 붙었다. 전면 철거 방식이 주민 간 갈등 등 부작용을 유발하면서 새로운 도시관리 방식이 화두로 떠올랐다.

여기에 박원순 서울시장이 취임해인 지난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면서 도시재생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도심을 재생시키는 대형 프로젝트로 확대됐다.

현재 완료됐거나 추진 중인 대규모 도시재생 사업으로는 서울로 7017,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조성, 코엑스‧잠실운동장‧현대자동차 신사옥(GBC) 일대를 아우르는 MICE(회의‧관광‧전시‧이벤트) 지구 조성 등이 있다.

도시재생은 뉴타운 재개발 사업과 박원순 서울시장의 지원으로 대형 프로젝트로 확대됐다. 사진은 도시재생 사업으로 만들어진 서울로 7017.

도시재생 중점 추진지역은 ▲저이용 저개발 중심지역 ▲쇠퇴낙후산업(상업)지역 ▲역사문화자원특화지역 ▲노후주거지역이다.

강희은 서울시 재생정책과장은 “중앙정부, 다른 지방자치단체, 도시재생 활동가들이 서울의 도시재생 사례를 활용할 수 있도록 백서를 발간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자료를 공유해 서울형 도시재생 모델을 다른 지역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