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간 의사소통 위해 연결된 핫라인, 과거 남북·북미문제 등 다양한 논의 이뤄져

[공감신문] 북한의 고위급대표단의 평창 동계올림픽 방문을 계기로 남북 간 ‘핫라인’이 연결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비공식적으로 접촉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핫라인 연결에 대한 우리 측의 요청이 있었다고 전했다. 북한의 폐회식 대표단 파견 통보 사실이 공개된 직후인 22일, 북한이 고위급 단장으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을 파견하겠다는 사실을 통보한 시점의 일이다.

이와 관련해 ‘비공식 접촉’이 국가정보원에 설치된 남북 간 핫라인을 통한 북한의 의사전달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온다.

북한 고위급대표단의 평창 동계올림픽 방문을 계기로 남북 간 '핫라인'이 연결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과거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국정원에 북한과 연결되는 직통전화채널이 구축돼 있었다. 이 채널은 남북한 최고 지도자간의 의사소통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현 정부 시절 외교안보를 담당했던 한 관계자는 23일 “당시 국정원에는 24시간 가동되는 라인이 존재했고 이 라인을 통해 전달된 북한의 메시지는 곧바로 대통령에게 보고가 이뤄졌다”며 “북한도 마찬가지 구조였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2000년 정상회담 이후 남북 간에 연결된 핫라인은 김대중 정부를 거쳐 노무현 정부까지 유지됐다.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은 회고록 ‘피스메이커’에서 6‧15정상회담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중요한 문제가 생기면 우리 두 정상이 직접 의사소통 합시다”라며 두 정상 간 비상연락망 마련을 제안했고, 김정일 위원장이 “그거 좋은 생각입니다. 그렇게 합시다”라고 답해 핫라인이 연결됐다고 회고했다.

그는 “개인적으로는 이 핫라인의 개설이야말로 정상회담 최대 성과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2000년 정상회단 이후 남북 간에 연결된 핫라인은 김대중 정부를 거쳐 노무현 정부까지 유지됐다.

남북 간 핫라인은 이명박 정부 들어 제재와 압박에 무게를 둔 대북정책이 추진되면서 단절됐다. 박근혜 정부에서도 이와 같은 상황이 이어졌다.

그러나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고위급대표단으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친여동생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을 파견하면서 복원 가능성이 제기됐다.

핫라인의 부활은 국정원과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 사이의 소통길이 열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쪽에서는 국정원에, 북쪽에서는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통전부에 각각 핫라인이 설치돼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의 “통일전선부장의 지위는 우리 쪽의 국정원장로 알고 있다”며 “서훈 원장이 카운터파트가 되지 않을까 싶다”는 전날 발언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핫라인 부활이 사실일 경우, 남과 북의 소통길이 열릴 전망이다.

핫라인 부활이 사실일 경우, 자연스럽게 국정원과 통전부 사이의 긴밀한 소통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남북 관계뿐 아니라 북미관계, 핵 문제 등에 대한 심도 있는 협의가 가능한 환경 조성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과거에도 남북한 핫라인은 남북 간의 대화뿐만 아니라 서해상 군사 충돌시의 대응, 북미대화 조정 등 다양한 문제 논의에 사용됐다.

핫라인이 재가동됐다면 남북 간에는 통일부가 관리하는 판문점 연락채널과 군 당국이 관리하는 서해 군 통신선까지 한반도 상황과 남북관계 협의를 위한 다양한 소통채널이 갖춰지게 된 셈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