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국회서 ‘당뇨병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정책 토론회’ 열려

[공감신문] 당뇨병은 50년 전만 해도 국내에서 흔치 않았지만, 현재는 500만명이 넘는 성인이 걸려있을 정도로 국가적인 중대 질환이다. 의료비 부담이 가장 높고 10명 중 7~8명이 치료관리에 실패하고 있어 앞으로 갈 길이 먼 질병이기도 하다.

당뇨 환자들이 병을 잘 관리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는 교육과 관리 체계의 공백이 지목된다. 교육자와 교육자료가 모두 부족해 환자들이 자가 관리의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과 대한당뇨병학회는 8일 국회에서 ‘당뇨병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정책 토론회’를 마련해, 당뇨병 환자들의 자가 관리를 돕는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당뇨병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정책 토론회'의 토론자들 / 고진경 기자

당뇨병 환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데 비해, 이를 적절하게 교육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는 부족하다.

우리나라 진료실에서 당뇨병 관리는 약물치료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의사가 환자에게 당뇨병에 대해 체계적으로 교육할 동기와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의료계 현장에서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교육에 가뜩이나 모자란 시간을 투자할 수 없다는 호소가 짙다.

대한당뇨병학회에서 교육자 자격인증을 시작한 지 20년이 넘게 흘렀지만, 보상이나 지원이 거의 없어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김종화 대한내분비학회 보험이사는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식사와 운동요법이 약물치료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약물투여 외에도 식이, 운동에서의 철저한 자기관리가 필수적이다. 지금의 의술로는 완치가 불가능하고 합병증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박경수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은 당뇨병은 사전 예방과 발병 후의 꾸준한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종화 대한내분비학회 보험이사 / 고진경 기자

토론자들은 전문 협의체를 통해 당뇨병 교육자들을 육성하고 표준화된 교육자료를 만들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식사나 운동을 통해 스스로 혈당을 조절하는 것은 지속하기 어려우므로 전문교육자로 하여금 환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지식과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임정현 대한당뇨병교육영상사회 회장은 당뇨병 환자의 생애 주기형 관리를 위해 의사와 임상영양사, 간호사를 포함하는 당뇨병 전문가 다학제팀을 꾸려야 한다고 말했다.

류옥현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의사와 당뇨병 관리를 총괄할 당뇨병 교육자 협의회 구축을 제언했다.

인터넷에 당뇨병에 대한 잘못된 자료가 다수 돌아다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에서 당뇨병 관리를 잘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김종화 보험이사는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담은 표준화된 자료의 보급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박병석 의원 / 고진경 기자

토론회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박병석 의원은 “당뇨병 환자 중 교육받은 사람이 5명 중 1명 꼴”이라면서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약속했다.

김종화 보험이사는 “당뇨병 교육의 체계를 수립하면 환자들의 합병증 위험을 줄이고 나아가 초고령화 사회에 의료비 부담을 절감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사회의 관심을 부탁했다.

토론자들의 지적과 같이, 우리나라에는 표준화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이 없고 교육상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아 환자들의 자가 관리에 어려움이 많다.

당뇨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가볍게는 저혈당에서부터 신장기능 저하, 심하게는 실명과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인지율은 다른 질병보다 높지만 완치될 수 없고 합병증의 위험이 큰 만큼 효과적인 교육체계가 구축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