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회서 국회 교문위 위원들 주최로 '영어교육 내실화를 위한 토론회' 열려

[공감신문] ‘말하는 영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수년째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초 교육부가 영어교육 전반에 대한 내실화 방안을 세우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그 구체적인 방안을 토의하는 자리가 국회에서 마련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성엽 위원장, 이종배·이동섭 간사와 안민석 위원은 17일 국회에서 ‘영어교육 내실화를 위한 국회 토론회’를 열고 영어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했다.

바른미래당 이동섭 의원과 장정숙 의원(왼쪽부터) / 고진경 기자

정부가 수능 영어시험 절대평가 시행, 국가 영어능력시험(NEAT) 개발, 유능한 영어교사 확보 등의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영어교육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다. 현장에서 대학 입시를 위한 듣기와 읽기 교육만 중시해 말하기와 쓰기 교육이 뒤편으로 밀려나 있기 때문이다.

우수한 성적으로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도 자신의 의견을 영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은 이같은 교육현장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 영어와 학교에서 가르치는 입시영어가 크게 다르다는 점은 국가적으로 큰 낭비이자 손해가 아닐 수 없다.

이보영 실용영어전문가 / 고진경 기자

영어교육의 방점, 교재, 평가가 모두 읽기와 듣기에 쏠려있다 보니 교사의 능력도 이에 편중돼있는 상태다.

이보영 실용영어전문가는 영어 구사 능력의 부족과 의사소통중심 수업을 체험해보지 못한 세대의 교사가 상당수 포진해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자들은 영어 말하기와 쓰기 수업이 학교 교사들에게 부담스러운 과업이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교사보다 입시 위주의 수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사를 더 높이 평가하는 지금의 분위기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와 이해동 영석고등학교 교사(왼쪽부터) / 고진경 기자

이해동 영석고등학교 교사는 국가 단위의 정책이 실효가 떨어졌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어교육 정책의 초점을 학교단위에 맞출 것을 제언했다.

학교별로 적합한 수업 모형과 학습 자료를 개발해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표현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교사 연수 지원도 강조했다.

이보영 실용영어전문가는 수준별 소규모 분반 수업과 교사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 장정숙 의원 / 고진경 기자

토론회에 참석한 바른미래당 장정숙 의원은 “영어교육에 그렇게 많은 시간과 돈을 들이고도 말 한마디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은 오늘날 우리 영어교육의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영어교육이 변화해야 한다는 데 적극적인 지지를 보냈다.

장 의원은 “입시 위주의 교육 대신 의사소통을 위한 살아있는 영어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학교 현장의 교육이 정부의 의도와는 상당 부분 다른 모습으로 실시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학교 현실과 요구를 반영한 정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토론자들의 공통된 주장과 같이 국가보다 작은 단위, 적어도 교육청 단위의 맞춤형 교육이 요구된다.

국회는 영어교육이 입시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사회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