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소매업소가 시세차익·판매량 증대 노리고 사재기

[공감신문] 가격 인상과 흡연경고그림 도입을 앞두고 담배 소매업소의 사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가격 인상과 흡연경고그림 도입을 앞두고 담배 소매업소의 사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22일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 담배업계에 따르면 담뱃값이 2500원에서 4500원으로 대폭 인상되기 전인 지난 2014년 담배판매량은 43억6000갑으로 담배반출량인 45억갑보다 적었다.

담뱃값이 오른 2015년의 담배판매량은 전년보다 대폭 줄어들었지만 담배반출량인 31억7000갑보다 훨씬 많은 33억3000갑을 기록했다.

담배제조판매업체와 수입판매업체가 담배시장에 내놓은 담배보다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실제 판매된 담배가 많았던 것이다.

담배반출량과 판매량의 역전은 소매업소가 시세차익을 노리고 가격이 오르기 전 담배 사재기를 벌인 결과로 풀이된다.

이는 소매업소가 시세차익을 노리고 가격이 오르기 전 담배 사재기를 벌인 결과로 풀이된다.

가격 인상과 경고그림이 가격과 비가격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금연정책으로 꼽히는 이유다.

담배반출은 담배 제조업체나 수입판매업자가 담배를 제조장 또는 보세구역에서 외부로 운반하는 행위다. 실제 판매와는 다르지만 담배소비세 등 세수 산정의 기준이 된다.

이런 현상은 흡연경고그림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지난 2017년 당시에도 동일하게 벌어졌다.

정부가 흡연경고그림 부착 의무화 정책을 도입하기 전인 2016년 담배판매량은 36억6000갑으로 담배반출량 37억3000갑보다 적었다.

복지부는 흡연 폐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경고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오는 12월 담배 경고그림의 수위를 기존보다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흡연경고그림이 본격 시행된 2017년 담배판매량(궐련형 전자담배 포함)은 35억2000갑으로 담배반출량 34억1000갑보다 많았다.

경고그림이 없는 담배를 사전에 미리 많이 사둬 판매량 증가를 노린 것으로 해석된다.

복지부는 흡연 폐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경고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오는 12월 담배 경고그림의 수위를 기존보다 한층 강화한다고 예고한 바 있다.

최근 많은 흡연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궐련형 전자담배에도 암세포 사진을 부착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