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최고위원 분리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유력...文 정부에 힘 싣는다

[공감신문] 6.13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둔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일정을 논의하기로 했다.

당권 개편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차기 당권이 누구의 손에 들어갈지 세간의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일정을 논의하기로 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당 전체가 지방선거에 매진하느라 준비가 부족한 만큼 8월 전당대회가 어려울 것이라 판단하고, 당초 8월 하순으로 예정했던 전당대회를 9월로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당대회 사전 절차로 조직강화특위를 설치하고, 지역위원회와 시·도당위원회를 개편하기까지 시간이 촉박하다는 것이다.

원래는 2년 임기의 추미애 대표가 지난 2016년 8월 27일 선출된 만큼 8월 안에 새 대표가 뽑힐 전망이었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18일 최고위에 대표 선출을 위한 전체 로드맵이 보고되면 전당대회 날짜를 특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당대회는 지금 여건 상 8월 말에 하기 어렵다”며 “추석 전주에 하는 것은 어떨지 검토하고 있고 최고위에도 그렇게 보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당대회가 9월로 밀리면 추 대표는 그때까지 대표직을 유지하게 된다.

추 대표는 지방선거 다음 날인 14일 tbs 라디오에 출연해 ‘정계개편 얘기가 나올 때는 당 대표가 아니실 것’이라는 사회자의 언급에 “모르죠”라고 대꾸한 바 있다.

전당대회 일정 변경이 당 내부에선 지방선거 직후부터 논의되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전당대회가 9월로 밀리면 추 대표는 그때까지 대표직을 유지하게 된다.

민주당은 전당대회 일정을 결정한 후 곧바로 전당대회준비위원회 구성에 나선다.

전준위원장은 선거에 출마하지 않는 중진 의원이 맡는다. 전준위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룰 세팅’이다.

최고 득표자가 대표가 되고 차순위 득표자가 최고위원이 되는 ‘순수 집단지도체제’ 대신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에 무게가 실린 것으로 전해졌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보다 대표의 권한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이번에 선출되는 당 대표는 오는 2020년 21대 총선 공천권을 쥐기 때문에 더 막강하다.

문재인 정부 집권 2년 차 국정운영을 확실하게 뒷받침하기 위해 대표를 중심으로 힘을 모으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민주당은 전당대회 일정을 결정한 후 곧바로 전준위 구성에 나선다.

전준위가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택할 경우 그동안 당권에 도전할 것으로 거론된 인물들도 대표 선거와 최고의원 선거로 길이 갈릴 전망이다.

대표 후보군으로는 7선의 이해찬 의원, 6선의 이석현 의원, 5선의 이종걸 의원, 4선의 김진표·박영선·설훈·송영길·안민석·최재성 의원, 3선의 우상호·우원식·윤호중·이인영 의원, 재선의 박범계·신경민·전해철 의원, 초선의 김두관 의원 등이 거론됐다.

4선의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나 3선의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의 출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당권 개편을 앞두고 가장 이목이 쏠리는 부분은 친문(친문재인) 세력이 누구를 단일 후보로 내세우느냐다. 당 내에서 친문의 영향력이 막대한 데다, 차기 대권주자도 친문 진영에서 배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민주당 원내 지도부의 한 의원은 “그동안 당 대표 선거에서 친문의 표심이 당락을 결정짓는 역할을 했다”며 “이번에도 결국 친문 진영에서 결정하는 사람이 유리한 고지에 올라서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차기 당 대표 자리를 친문의 ‘떼어놓은 당상’으로 보는 시각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의원은 “당 대표 후보들이 친문을 자처하는 것은 문 대통령에도 독이 된다”며 “특정 세력이 다 해먹는다는 프레임에 걸리면 보수언론의 먹잇감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