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기피·지방 혁신도시 이전 영향...1인 가구 임시·일용직 비율 높아

[공감신문]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결혼 기피현상과 지방 혁신도시 이전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561만3000가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17만9000가구(3.3%)가 늘어난 수치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보다 더 빠르게 늘어나면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1%에서 28.7%로 높아졌다.

취업자인 1인가구를 연령별로 분류하면 중장년층인 50~64세가 2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39세(23.7%), 40∼49세(21.0%), 15∼29세(18.8%), 65세 이상(10.1%) 순이었다.

교육 정도별로는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가 148만6000가구(43.3%)로 대다수였다.

나이가 어리고 교육 정도가 높은 청년층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15~29세 1인 가구는 전년 대비 6만2000가구(10.7%) 늘어나 전체 연령대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취업자 청년층 1인 가구는 지난해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불어나면서 2016년 증가율(4.1%)의 두 배를 훌쩍 넘어섰다.

15∼29세 1인 가구가 전체 취업자 1인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7.7%에서 18.8%로 1.1%포인트 상승했다.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도 같은 기간 9만1000가구(6.5%) 늘어났다.

정부는 청년들의 결혼 기피 현상을 최근 청년층 1인 가구 증가세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정부는 청년들의 결혼 기피 현상을 최근 청년층 1인 가구 증가세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취업과 동시에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해 혼자 살림을 꾸리는 청년들이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124만8000가구(36.4%)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숙박음식점업(73만3000가구·21.4%), 광·제조업(56만2000가구·16.4%) 순이었다.

광·제조업, 건설업 등에서 비중이 늘었지만 농림어업,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은 줄어들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시·일용직이 88만1000가구로 전년(86만2000가구)보다 1만9000가구 증가했다.

전체에서 비중은 33.7%에서 32.8%로 하락했지만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임시·일용직 비율(24.3%)을 여전히 웃돌았다.

1인 가구 중 100만원 미만 받는 취업자의 절반은 농림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전년과 동일한 42.8시간이었다. 전체 취업자 취업시간(43.3시간)보다는 0.5시간 적었다.

임금 수준별로 보면 200만∼300만원 미만이 33.3%로 가장 많았다. 100만∼200만원 미만(29.2%), 300만∼400만원 미만(16.3%), 100만원 미만(11.0%), 400만원 이상(10.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100만원 미만 업종의 절반은 농림어업(48.6%)이었다. 100만∼200만원 미만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40.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1.0%) 등에서 다수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노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중 임금이 100만∼200만원인 노동자 비중은 각각 45.3%, 44.6%, 39.4%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