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서 당 안정화 해법 제시...공천권 두고 정치적 셈법 엇갈려

[공감신문] 당 쇄신방안을 두고 좀처럼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자유한국당 내에서 ‘1년짜리 대표’안이 나왔다. 조기 전당대회를 뽑되 임기를 1년으로 하자는 대안이다.

한국당 당대표 임기는 통상 2년이다. 다만 당헌‧당규에 따르면 궐위된 당대표의 잔여임기가 6개월 이상일 경우 60일 이내에 전당대회를 열고 임기를 전임자의 잔여임기로 정할 수 있다.

지방선거 패배에 책임을 지고 중도 하차한 홍준표 전 대표의 임기는 내년 7월까지로 1년가량이 남았다.

당 쇄신방안을 두고 좀처럼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자유한국당 내에서 ‘1년짜리 대표’안이 나왔다.

한 중진의원은 1일 “혁신 비상대책위원회에 전권을 줘야 한다는 쪽이나, 조기 전당대회를 해야 한다는 쪽이나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공천권이 없는 당대표를 뽑아 우선 당을 안정화하는 것도 해법”이라고 말했다.

임기 1년의 대표는 2020년 총선 전에 자리에서 물러난다. 계파 갈등 완화와 당 수습책 마련에 전념할 수 있도록 공천권이 없는 새 대표를 뽑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분당 이야기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일부 중진들 사이에서는 사생결단식 권력다툼을 막고 당을 안정시키는 방안으로 이 같은 논의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한 재선의원은 “총선 공천권 이야기가 나오니 목숨 걸고 싸우는 것”이라며 “조기 전당대회로 뽑힌 당대표가 쇄신에만 주력하도록 하는 것이 방법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성태 대표권한대행은 혁신 비대위원장에게 차기 총선 공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칼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정치적 셈법이 계파별, 주자별로 제각각이어서 이런 안이 채택될지는 미지수다.

김성태 대표권한대행은 혁신 비대위원장에게 차기 총선 공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칼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지난 27일 “2020년 총선 공천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대위여야 하고, 비대위원장은 당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을 수도 있다”고 발언했다.

비대위의 쇄신활동에 막강한 권한과 함께 시간을 부여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렇게 되면 새 대표 선출을 위한 조기전당대회는 물 건너가고, 새 대표가 총선 공천권을 거머쥐게 된다.

복당파 의원들은 김 권한대행의 입장에 공감대를 형성한 상태다.

김진태 의원은 지난달 28일 의원총회에서 “전대를 무기한 미룬다고 능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반면 친박근혜(친박)계를 중심으로 한 잔류파와 잠재적인 전대 주자군은 비대위가 전권을 갖는 데 반대한다. 특히 친박계는 김 대행 체제에서 꾸려질 혁신 비대위가 친박 청산에 나설 것을 우려하고 있다.

김진태 의원은 지난달 28일 의원총회에서 “전대를 무기한 미룬다고 능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윤상직 의원은 “이른 시일 내에 전대를 열어 대표는 뽑고, 그 대표가 잘하면 21대 총선까지 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친박계는 새롭게 뽑힐 당대표의 임기를 두고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전당대회에 관심을 두고 있는 중진의원들이 ‘1년짜리 대표’에 명확한 반대 의사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한 중진에게서는 외부에서 들여온 비대위원장이 아닌 의원들이 직접 뽑은 당대표가 인적청산을 주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는 조기 전대를 열되, 당헌‧당규를 고쳐 임기를 새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