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맞춰 PC 자동종료 시키고 근무 시간 자율 조정토록...52시간제 부작용 최소화 노력

[공감신문] 주 52시간 상한제 적용을 1년 유예받은 금융권에서 조기 도입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PC 오프제나 유연근무제를 통해 법의 강제 시행에 앞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는 조치다.

주 52시간 상한제 적용을 1년 유예받은 금융권에서 조기 도입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대부분 카드사는 이달 PC 오프제와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

PC 오프제는 오후 6시 또는 7시에 PC를 자동으로 종료시키는 제도다. 초과 근무를 강제로 막는 방법이다.

PC가 꺼지기 10~30분 전 모니터 화면에 공지가 떠 근무시간 종료를 알리고 추가 근무를 하려면 신청하라고 안내한다.

연장 근무를 하려면 사전 신청과 부서장 결재가 필요하다.

유연근무제는 오전 9시 출근, 오후 6시 퇴근을 기본으로 한다. 한 시간 먼저 출근하면 한 시간 일찍 퇴근하는 식으로 하루 8시간 근무를 충족하는 선에서 자유롭게 출퇴근하는 제도다.

선택적 근로시간으로는 7-4제, 8-5제, 10-7제 등이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대부분 카드사는 이달 PC 오프제와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

신한카드는 PC 오프제와 유연근무제를 도입해 홍보와 정보기술(IT) 등 일부 부서를 제외하고 주52시간제를 시행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PC오프와 PC온을 함께 추진했다. 오전 8시 30분 전에는 PC를 켤 수 없게 하는 방법이다.

KB카드는 상반기 일부 인원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이달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확대했다.

9-6제를 기준으로 오후 7시에 PC가 꺼지는 PC오프제도 도입했다. 한 시간 정도 연장 근무로 일을 마칠 수 있는데 굳이 연장 근무를 신청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것이란 판단에서 PC 종료 시각을 오후 7시로 정했다.

아울러 연장 근무가 많으면 부서장 평가 때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그동안 주중 야간이나 주말에 진행되던 직원 연수도 가급적 줄일 계획이다.

하나카드는 부득이한 야근 시 다음날 출근 시간을 조정토록 했다.

롯데카드는 지난 2016년 1월부터 유연근무제를 시행해오고 있다. 오전 8시부터 10시까지 30분 단위로 출근 시간을 정할 수 있게 했다.

단, 업무 혼선을 빚지 않도록 근무시간은 한 달에 한 번만 변경할 수 있다.

현대카드는 지난해 8월부터 일부 부서에서 시행한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연내 전사로 확대한다.

주요 보험사들도 PC 오프제와 유연근무로 주 52시간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주요 보험사들도 PC 오프제와 유연근무로 주 52시간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PC 온오프제를 도입한 삼성화재는 오전 8시~오후 6시 30분 사이에만 PC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지점장과 보험설계사 간 아침회의시간은 종전 오전 8시 40분에서 오전 9시로 소폭 늦췄다.

현대해상은 PC 오프제를 조기 도입해 주 1~2회 실시하다가 2017년 9월부터 주 5회로 늘렸다. 이어 일이 일시적으로 몰리는 특수직군에 한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KB손해보험은 일찍이 2006년부터 PC 오프제를 시행하면서 사실상 주 52시간제를 실시해왔다. 영업이나 보상직군이 월 마감을 맞아 연장 근무가 필요하면 월 1회, 2시간 연장 근무가 가능하다.

삼성생명은 이달부터 PC 오프제를 도입해 주 52시간제에 첫 발을 디뎠다.

교보생명은 노사가 주 52시간제을 정착시키기 위해 직무별 특성에 따라 어떤 형태의 근로 형태를 적용할지 논의하고 있다.

초과근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논의의 핵심이다. 재무 설계사의 주말 교육 때 지점 인력이 지원 나오는 것을 최소화하고 해당 인력이 이튿날 대휴를 쓰게 하는 등이다.

한화생명은 일부 직군을 제외한 일반직은 이미 주 52시간 근무를 하고 있다. 이에 유예기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카드사나 보험사는 점포로 고객이 방문하는 은행과 달리 고객을 찾아가는 영업형태여서 근무시간 조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며 “기존에도 대부분 직군에서 근로시간이 주 52시간을 넘지 않기에 조기 도입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