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조업-디지털 분야 성공적 융합 통해 4차산업혁명 주도할 잠재력 가지고 있어

‘4차산업혁명과 대한민국 혁신성장 활로 모색’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 김대환 기자
‘4차산업혁명과 대한민국 혁신성장 활로 모색’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 김대환 기자

[공감신문] 김대환 기자=4차 산업혁명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독일의 ‘융·복합 혁신 클러스트 모델’ 도입을 검토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7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4차산업혁명과 대한민국 혁신성장 활로 모색’ 토론회(바른미래당 혁신성장일자리 위원회·임재훈 국회의원 공동주최)가 열렸다.

지난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4차산업혁명이 공식 의제로 논의됐고, 이후 본격적인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모바일, 클라우드 등 융·복합 기술 경쟁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선진국들은 앞 다투어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독일은 ‘인터스티리4.0’을 발표하면서 4차산업혁명 기술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인터스티리4.0은 제조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생산 공정이 지능화되고, 로봇이 사람과 함께 제품 조립을 하고, 자동으로 에너지와 생산 재료를 최적화하면서 전체 공정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중국은 ‘메이드 인 차이나 2025’를 선언하고, 인터스티리4.0을 중국식으로 변용하는 등 미국을 뛰어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미국 오바마 정부에서는 ‘AMP2.0’을 발표했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아메리카 퍼스트’를 내걸고 제조업 부흥과 국가 경쟁력 확보를 강조했다.

세계 각국이 정부를 포함해 학계, 기업, 노조 등 여러 주체가 함께 4차 산업혁명 혁신성장 동력의 활로를 찾고 있는 것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김택환 경기대학교 특임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융·복합”이라며 “대한민국은 독일을 지향모델로 삼아야한다”고 주장했다.

김택환 경기대학교 특임교수 / 김대환 기자
김택환 경기대학교 특임교수 / 김대환 기자

김택환 특임교수는 독일의 ‘융·복합 혁신 클러스트 모델’ 도입을 검토해야한다고 밝혔다. 

‘독일 융·복합 혁신 클러스트’는 여러 기업과 연구소, 대학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융·복합 연구개발 모델로서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새로운 콘셉트와 제품·서비스를 개발하며 미래 산업과 미래 성장 동력 개발에 올인 하는 모델을 뜻한다. 글로벌 경쟁력 향상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김 특임교수는 “21세기에도 제조업이 산업의 중심”이라며 “이는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나라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유럽 미래경제연구소인 프로그노스는 제조업은 서비스업의 2.5배의 위력을 발휘한다고 분석했다. 국회 사무처 자료에 따르면 전 산업에 대한 생산유발효과에서 제조업은 3.17%, 서비스업은 1.96%다.

우리나라는 세계 제조업 경쟁력 5위, IT 발전지수 1등 국가로서 자동차, 조선 등 제조업에 특화된 강점과 세계가 인정한 IT 인프라 등 신성장 동력 창출에 유리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김 특임교수는 “대한민국은 제조업과 디지털 두 분야의 성공적 융합을 통해 4차산업혁명을 주도할 수 있는 국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