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性인식 분명하나 수직적 문화로 인한 암묵적 침묵 만연...영화계 성평등 문화 필요해”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

[공감신문] 영화계 종사자의 과반이 성희롱·성폭력 등 성범죄를 경험했지만, 대다수 피해자들이 수직적 문화로 인해 암묵적인 침묵을 강요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서울 서대문갑)이 영화진흥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영화계 종사자의 46.1%가 입문준비 과정부터 현재까지 성범죄를 경험했다.

여성가족부가 올해 전국 226개 시·군·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공무원의 11.1%가 성희롱 및 성폭력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영화계 종사자의 성범죄 응답은 이보다 4배 더 높은 수치다.

성범죄 피해자 75%는 ‘문제라고 느끼지만 참는다’(44.1%), ‘자리를 피한다’(30.7%)라고 대답해, 문제제기 자체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영화계 종사자 46.1%가 성범죄를 경험하고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에 대한 대처가 어려운 이유로는 ‘그냥 넘기는 게 제일 나은 방법이라서’(34.1%), ‘대처방법이나 도움받을 곳을 몰라서’(26.7%), ‘캐스팅이나 업무수행에서 배제될까봐’(25.9%) 등을 꼽았다.

직군에 따른 발생단계 차이는 뚜렷했다. 배우의 50.4%는 영화 입문단계에서 피해를 입었다. 작가와 제작 직군은 각 41.2%, 32.5%가 사전제작 단계에서, 미술·소품·분장·헤어·의상 등 현장 스태프의 66.7%는 제작 단계에서 성범죄를 경험했다.

심층 면접조사 결과 ‘영화의 완성’이라는 영화산업이 가진 특수성이 부각됐다. 자본과 직결되는 특수성이 수직적 문화를 만들어내고, 인권 문제가 경시되고 있는 것이다.

4일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은 영화계 성범죄를 근절하기 위한 성평등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 pixabay CC0 Creative Commons

영화계의 특수한 조직문화는 불안정한 고용구조로 연결되고, 이는 피해자들이 공적인 대처를 어렵게 한다.

우상호 의원은 “영화계 전반의 성차별적 구조를 개선하고 성평등한 문화정책을 정착하기 위한 장기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직급·직군·연령별 피해가 복잡하다”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한국영화성평등센터, 한국영화성평등소위원회가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온전히 담고 중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