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고야 의정서’ 발효 이후 각국 간 자원 주권 확보 및 종자 산업 선점 위한 경쟁 치열해져

‘토종한의약자원 산업화 전략 심포지엄’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김대환 기자
‘토종한의약자원 산업화 전략 심포지엄’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김대환 기자

[공감신문] 김대환 기자=토종한의약자원의 종자확보 등 토종한의약자원의 산업화 전략을 마련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25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토종한의약자원 산업화 전략 심포지엄’(더불어민주당 남인순·민주평화당 황주홍 국회의원 공동주최)이 열렸다.

지난 2014년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되면서 세계 각국 간에 ‘종자전쟁’이라고 불릴 만큼 자원 주권 확보와 종자 산업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자원을 활용하며 생기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지침을 담은 국제협약이다. 의정서에 따르면, 생물 유전자원을 이용하는 국가는 그 자원을 제공하는 국가에 사전 통보와 승인을 받아야 하며 유전자원의 이용으로 발생한 금전적, 비금전적 이익은 상호 합의된 계약조건에 따라 공유해야 한다. 

종자는 농업분양의 반도체로 미래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각종 식품과 의약품, 화장품, 신약 등 첨단 바이오산업의 중요한 소재다.

한국한의약진흥원은 지난 2012년부터 토종한의약자원 종자확보와 재배법 연구, 유전학적 분석, 기원감별법 개발 등 해외시장을 겨냥한 한의약 자원 가치를 극대화함으로써 토종한의약자원의 생물주권을 확보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병관 한국한의약진흥원 센터장 / 김대환 기자
안병관 한국한의약진흥원 센터장 / 김대환 기자

이날 발제를 맡은 안병관 한국한의약진흥원 센터장은 “한국 토종자원의 한약재 기반 구축사업은 지난 2012년에 시작된 사업으로, 약15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갔다”고 밝혔다.

안병관 센터장은 “공정서(약전, 생규) 및 전통한의서(향약집성방) 등에 수재된 토종 한약 자원 88품목을 발굴해 국립생물자원관에 등록했다. 토종한약자원 100종에 대한 성분과 유전정보, 이화학 정보 등 기초 연구자료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안 센터장은 “24개 이상의 시·군을 돌아다니며 250여종의 토종자원을 수집했고, 토종자원 200여종은 증식에 들어갔다”며 “한약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현재 212종을 NCBI에 등록했다. 유전체 분석 100종과 감별키트 1종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그는 “한의약산업을 6차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한의사 대상 한약재 재배과정을 교육 중에 있다. 한약재 재배관리와 도시농업의 이해, 한약재 모종 심기 실습 등 주요내용을 교육하고 있다”고 전했다.

안 센터장은 해남군, 구례군, 담양군, 곡성군, 신안군, 영광군, 순천시, 경산시 등 지역연계 한의약 산업의 성과를 소개, 한의약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오현경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 김대환 기자
오현경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 김대환 기자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오현경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은 “나고야 의정서 발효 이후 자원 제공국들은 자국 유전자원과 전통지식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각국에서 법과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 만큼 예측불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오현경 연구관은 “자원 제공국들은 특허와 연구논문 조사, 연전자원 취득의 적법성 확인과 전통지식 등에 기반해 특허 취소와 철회, 무효화조치를 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연구관은 “국내 한의약시장은 현재 해외 생물자원의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정부와 한의약계에서 적극적인 자원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입 원료 목록화(중국 원산 등), 수입국 변경, 대체자원 발굴, 자원 국산화 등 단계별 대응책을 검토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