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종 ‘비교과 영역’ 축소 필요해...나아가 내신·수능 절대평가 필요성도

11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학생부종합전형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민주평화당 유성엽 의원이 사회를 맡아 토론회를 진행했다. / 서지민 기자

[공감신문] 서지민 기자=수능 전형인 정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학생부종합전형을 둘러싼 많은 쟁점이 있다. 학종은 도입 취지는 좋으나 이미 많은 부작용이 드러나면서 다시 수능 정시 확대를 주장하는 여론도 있다.

11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민주평화연구원 주최 ‘학생부종합전형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학종은 수능이란 단 한 번의 시험으로 학생들의 역량을 평가하는 기존의 정량평가에서 벗어나자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됐다. 공교육 붕괴 및 사교육 강화, 줄세우기, 주입식 교육 등 많은 문제를 양상한 기존의 대학 입시 ‘수능’ 정시 전형의 대안으로서 떠오른 것이다.

동시에 2014년 도입된 학종은 4년의 기간 동안 주관적인 평가 시스템, 비교과 요소의 사교육화 등 많은 부작용이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김학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정책실장(왼쪽)과 김태훈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부위원장. / 서지민 기자

이날 다수의 토론자들은 학종의 장점도 있는 만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개선해나가야 한다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태훈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부위원장은 “예전에는 학교 내신과 수능 등 점수로만 학생들을 판단할 수밖에 없었다”며 “학종이 도입되고 나서는 점수로 표현되지 않았던 학생들의 역량과 잠재력 등 개성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학종 제도는 교과영역과 비교과영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은 비교과영역에서 수상경력, 자율동아리 활동, 소논문, 자격인증, 봉사활동, 독서활동 등을 반영하고 있다.

학교 교과 내용 외적인 부분을 반영하면서 학종의 ‘스펙화’가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들이 내신과 수능 최저등급 등을 위한 시험 공부과 동시에 여러 활동을 해야 하면서 부담이 가중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학부모와 사교육이 학생들의 활동에 개입하게 되는 것이다. 학부모가 좋은 봉사활동 자리를 알아봐주고, 소논문이나 자기소개서 등은 고액 컨설팅 업체가 대신한다. ‘금수저’ 전형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게 된 배경이다.

이에 비교과 영역을 전면 축소하고, 교과 영역을 대폭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학교 수업에 근거한 평가 제도는 궁극적으로 ‘공교육 정상화’에도 일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교의 평가에 대한 외부검증시스템을 도입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학교의 평가를 외부 전문가가 검증할 수 있게 되면 객관적 검증과 학생과 학교 간의 불필요한 갈등 등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송근현 교육부 대입정책과 과장(왼쪽)이 토론자로 참석해 발언 중이다. 백광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겸 입학처장(오른쪽)이 발표를 듣고 있다. / 서지민 기자

김학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정책실장은 나아가 절대평가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학종의 원래 도입 취지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내신과 수능의 절대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절대평가 체제에서 학종을 통한 자유로운 대학 입시 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수능으로의 회귀는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김 부위원장은 “12년간의 교육이 ‘단 한번’의 수능 시험으로 인생이 결정된다는 문제의식은 해결되지 않았다”며 “다시 정시 중심의 입시로 돌아가면 그 문제를 그대로 다시 시작한다는 것이다. 챗바퀴 도는 듯한 논의로는 한국 교육의 비전을 찾을 수 없다”고 짚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