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오는 2025년까지 계획하고 있는 산업단지 완공될 경우 1일 33만7200t의 공업용수 부족할 것으로 추정

‘충청북도 공업용수도 공급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 김대환 기자
‘충청북도 공업용수도 공급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 김대환 기자

[공감신문] 김대환 기자=충청북도 경제의 주요 성장 동력 중 하나인 산업단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공업용수 공급량의 부족으로 도내 모든 산업단지에 공업용수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6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충청북도 공업용수도 공급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자유한국당 경대수·박덕흠·정우택·더불어민주당 변재일·오제세·이후삼 국회의원 공동주최)가 열렸다.

충북에서는 용수공급, 전력생산, 홍수조절 등의 기능을 하는 충주댐과 대청댐에서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충주댐과 대청댐은 전국에서 2번째, 3번째로 큰 규모의 댐이다.

두 댐의 저수량은 42억4000t으로 팔당호에서 수도권으로 공급하고 있는 용수의 511일 분량에 해당한다. 충북은 전국 최고 수준의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충주댐과 대청댐에서 충북지역에 공급하는 용수 배분량은 43.6%로 나머지 56.4%는 수도권과 대전 등 타 지역에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은 지난 2018년 기준 산업단지 분야 면적 증감률이 6.4%로 전국 산업단지 분야 면적 증감률 1.7%와 비교했을 때 약 3.7배 높다. 급격한 산업단지의 증가로 공업용수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공업용수 공급량은 한정돼 있어 공업용수의 부족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각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충북은 지난해 11월 국가혁신융복합단지로 지정, 전략산업으로 삼을 반도체 산업이 많은 양의 공업용수를 필요하기 때문에 공업용수 부족 현상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오는 2025년까지 계획하고 있는 산업단지가 완공될 경우 1일 33만7200여t의 공업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이시종 충청북도지사는 “현재 충북의 공업용수도는 산업단지 증가세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며 “충북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충주댐이 있지만 광역상수도가 주로 경기도에 공급되고 있어 정작 충북에 공급되는 용수는 부족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시종 충청북도지사 / 김대환 기자
이시종 충청북도지사 / 김대환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후삼 국회의원은 “충주댐을 통해 공업요수를 공급받고 있는 충북지역의 용수 부족 문제는 충북 전 지역 경제발전의 근간을 흔드는 중차대한 문제”라며 “충북 구성원 모두 머리를 맞대 해결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전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배명순 충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부는 수도정비기본계획에 충북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배명순 선임연구위원은 “정부는 충북의 경제발전의 한계를 고려해 산업단지 잠재수요량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며 “오는 2025년 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에 따른 충주댐계통 3단계 사업의 조기 추진을 검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도는 충주댐에서 매일 공급 중인 용수 20만톤 중 경기도로 배분한 11만2000톤이 여유가 있는 만큼 충북으로 일부 공급하는 방안과 충주댐계통 3단계 사업을 내년부터 실시해 충북의 공업용수로 쓰일 충주댐 물을 늘리는 방안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 선임연구위원은 “대청댐과 충주댐 계통 연결을 통해 수자원배분의 안정화가 필요하다며 청주(오송)와 진천(진천읍)의 31km 구간에 광역상수도 관로를 연결하자고 주장했다.

배명순 충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김대환 기자
배명순 충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김대환 기자

그는 “용수 재이용 및 지속가능한 물이용 사업 시행을 검토해야한다"며 "산업단지와 공공 하폐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재이용하는 시설을 확대해야한다. 빗물 재이용과 강변 여과수 등 대체수자원 활용방안을 수립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배 선임연구위원은 댐 주변 및 상류 지역이 상수원 보호를 위해 각종 규제로 묶여 있는 것과 관련해선 “희생하는 지역에 공업용수를 우선적으로 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북 전체 면적에서 댐 상류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 면적의 절반 이상이 상수원 보호를 위해 각종 규제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는 댐 하류지역(충주시, 음성군, 진천군, 증평군, 청주시)에 계획적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지만, 공업용수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 선임연구위원은 “희생의 보상차원에서 광역상수도 공급비용 차등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