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신문] 교육에 관한 정책이 이처럼 많이도 바뀐 나라가 있을까?

정권이 바뀌면 제일 먼저 바뀌는 것이 교육제도이고 그 제도에서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할지 모르는 것은 학생들이다.

대한민국 교육의 폐해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러한 제도적 문제점이 가져오는 국가적 제앙은 날로 심하게 변해가고 있다.

대학의 구조조정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조정에 따라 ‘인문학’의 홀대가 깊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학의 인문학 홀대에 맞서 각종 인문학 토크와 인문학 강의가 등장하는 현상도 기이한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이해햐야 할까?

대학의 기업화는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온 현상이다. 대학이 시장 논리에 따라 인문학에 소홀하는 실정에서 대학은 모든 지표를 ‘취업률’에 맞추고 그 취업률을 위해 대학의 모든 과정이 바뀌고 있다. 인문학은 소위 배고픈 직업을 만드는 학문으로 치부한다. 이러한 인문학이 시장 논리 시스템에 맞춰 움직이고 있는 현상도 발생한다.

시장 논리에 따라 인문학을 주제로 한 콘텐츠들의 수요는 계속해서 초과 되고 있고 그 수요는 쏟아져 나오는 홍수와 같이 시장으로 방출 되고 있다. 이렇게 아무렇지 않은 듯 시장으로 나오는 인문학이 아이러니한 현상으로 사람들의 모순된 욕망을 부추기고 있다.

인간의 모순된 욕망의 인문학 콘텐츠에 대한 수요 초과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이 충분히 인문학에 대한 갈증과 욕망 그리고 갈망의 심리가 내재되어 있음을 이야기 한다. 특히 누군가 인문학도가 되는 것을 포기한 채 얄팍한 인문학적 지식을 갖기 위해 인문학의 콘텐츠를 접하게 되고 그 얄팍한 인문학의 지식으로 인문학적 지식의 포만감을 가지려 한다.

이미 대학은 상아탑의 학문으로 포기한지 오래다. 직업학교로 변질 된지도 오래고 대학은 기업화로 변해 더 이상 배고픈 직업의 노동자를 배출하려 하지 않는다. 그래서 인문학은 홀대론이 대두되는 것이다.학문의 지표가 취업률, 충원률, 국제화 등으로 판단 되어서는 안된다. 학문의 기준이란 절대적으로 존재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이미 우리나라 사회적 구조는 실용주의적 잣대로 학문을 파악하고 있다. 그런 사회적 현상에서 인문학에 대한 욕망은 모순될 수 밖에 없는 학문으로 취급될 수 밖에 없다. 어느 강사가 “굶어 죽어도 인문학을 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좌중에서 섣불이 “네”라고 답하는 사람이 없었다. 하지만 그 자리의 좌중들이 강의가 끝나고 홀로 생각을 했을때 “네 있습니다”라는 결심의 답을 할 것이다. 인문학이 그렇다. 생각하고 나면 달라지는 마음과 누군가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학문이 바로 인문학이다.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통합의 과정은 이미 인문학의 말로를 보여주는 꼴이 되고 있다.

몇 안되는 실용주의자들은 따로 철학을 배우지 않아도 기본적인 스스로의 철학이 있어 반드시 대학에 학문으로 인문학이 존재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들게 한다.

그럼에도 대학은 학문으로써 인문학에 대한 부정을 해서는 안된다. 인문학은 늘 우리에게 희망과 용기 그리고 믿음을 줬다. 그렇게 인문학은 모든 학문의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학문적 소양을 갖추게 했다. 이러한 학문의 기본을 없애고 직업인만을 양성하는 대학의 모순된 현실이 과연 올바른 대학의 모습인가에 대해 우리는 심각한 고민을 해봐야 한다.

우리가 인문학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사람들의 모순된 욕망에서 발생하는 인문학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에 고무적이다. 각자 가진 철학을 가슴에 품고 인문학에 대한 존재에 의문을 갖는 실용주의자들의 물음에 과감한 답을 던져야 한다. “당신이 지금 그 자리를 지킬 수 있는 기본적 학문은 인문학 입니다”라고...

끊이 없이 던진 “왜”라는 질문에 우리는 또 고민하게 된다. 아니 그 고민이 바로 답일 수 있다. 답답하지만 텁텁하지만 인문학이 주는 교훈이 바로 지금까지 우리 시대를 버티게해 준 버팀목 이었다.

사람들의 계속되는 학문에 대한 욕망과 갈망 그리고 고민이 이루어진다면 이미 변해버린 대학의 모습이 다시금 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는 그렇게 고민 속에서 인문학을 갈구하는 모습으로 살아왔고 살아갈 것이다.

그렇게 또 한 시대를 살았고 그 살아온 시대속에서 우리는 하나의 인문학을 잃고 가고 있는건 아닌지 이쯤에서 한번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