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전문가 “중국, 미·중 사이버보안협정 이후 아태지역으로 공격 대상 전환해”

중국의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이 대응 조치 강화에 나섰다. [Pixabay/CC0 Creative Commons]

[공감신문] 현재 중국의 사이버 공격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다수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이와 관련한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4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한국 정부와 관련된 단체들, 호주의 연구소, 대만의 집권당, 캄보디아 야당 정치인을 대상으로 한 중국 사이버 스파이들의 해킹 공격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은 자국을 겨냥한 중국의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공세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올해 들어 한국의 정부와 관련이 있는 단체들, 호주의 연구소, 대만의 집권당, 캄보디아 야당 정치인들을 대상으로 한 중국 사이버 스파이들의 해킹 공격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Max Pixel/CC0 Public Domain]

이러한 의혹과 관련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혀 근거가 없는 주장”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일전에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어떠한 사이버 공격에도 반대하고 있다”라며 관련 논란을 일축했다.

하지만 미국 사이버보안업체 ‘파이어아이(FireEye)’에 의하면,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 중 공격적인 사이버 대응 능력을 갖춘 국가들은 기존의 중국, 북한, 파키스탄, 인도 등 4개국에서 현재는 최소 14곳으로 늘어났다.

이런 추세에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사이버 안보 분야에 대한 예산을 늘리고 있으며, 관련 법안을 재검토하는 등 해킹 감시 기구를 강화하고 있다. 

FT는 “이러한 공세적인 대응 움직임은 서방 국가의 정책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적들에게 대응하기 위한 ‘공격적인 사이버 작전’을 승인했다. 

영국은 러시아, 북한, 이란과 같은 나라로부터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사이버 전쟁기구’를 창설할 계획이다. 

뉴질랜드는 지난 7월 펴낸 한 정책 보고서를 통해 뉴질랜드군의 사이버 대응 능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파이낸셜타임스 사진 캡처]

한 아시아‧태평양 국가의 사이버 안보관련 책임자는 “내가 포함된 부서의 전술 중 중국의 사이버 망에 접근하는 스파이 활동도 포함됐다. 이는 중국의 해커들이 우리의 전선에 접근해 공격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2년 사이 중국의 해킹 공격 급증한 것과 관련해 중국이 2015년 미국과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삼가기로 한 내용의 사이버보안협정을 체결한 것과 부분적으로 연관됐다고 분석했다.

샘 샥스 미국 전략문제연구소(CSIS) 선임연구원은 “우리는 당초 미국을 겨냥했던, 중국의 사이버 활동이 방향을 바꾼 흐름을 확인했다. 중국의 수정된 목표는 아시아 지역을 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집권 이후 중국이 사이버 공격 능력을 강화했고, 이를 전담하는 기구를 재조직했다고 지적했다.

올해 초 인도의 티베트 공동체와 미국 알래스카 주 정부를 목표로 한 사이버 공격의 지원지로 중국 칭화(淸華)대 소속 해커들이 지목되기도 했다.

이처럼 중국의 사이버 공격 의혹이 짙어지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대응 조치를 내놓고 있다. 

호주 정보는 안보 관련 기구가 테러조직 활동을 방해하기 위한 공격적인 사이버 활동을 한다고 공개적으로 인정했으며, 안보 위험을 이유로 중국의 통신 장비업체인 화웨이와 ZTE의 호주 제5세대(5G) 네트워크 시장 진출을 금지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