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료채취 여부 관건…북한 핵 실험 ‘역사·실력’ 추정 영역까지 허락할지에 촉각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사찰단이 방북하기로 북미가 합의하면서, 사찰단이 '어느 수준까지' 확인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감신문] 북미가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사찰단 방북에 합의하면서 사찰단이 ‘어느 수준까지’ 확인할 수 있을지에 이목이 집중된다.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국무부는 풍계리 사찰단 방북 건을 발표하면서 “핵실험장이 불가역적으로 해체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찰단”이라고 언급했다.

이후 9일 헤더 나워트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기자가 ‘풍계리 핵실험장은 북한이 지난 5월 이미 폭파한 곳’이라고 지적하자 “기자들을 초청한 것과 사찰단을 초청하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라고 설명했다.

헤더 나워트 대변인은 풍계리 핵실험장에 기자들을 초청한 것과 사찰단을 초청하는 것은 엄연히 다른 일이라고 강조했다.

나워트 대변인은 “기자들이 본 것은 많은 기자와 몇몇 폭파 장면들이다. 사찰단을 둘러보라고 들여보내는 것은 완전히 다른 조치이자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조치이다”라고 강조했다.

사찰단이 풍계리에 들어가면 우선 북한이 기존에 핵 실험을 한 2번 갱도, 만들어 놓고 실제 핵실험은 하지 않은 3, 4번 갱도가 입구 뿐 아니라 깊은 곳까지 파괴돼 다시 쓸 수 없는지 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정도의 사찰은 북미 간에 별다른 이견이 없을 것으로 보이나, 풍계리 핵실험장이 담고 있는 북한 핵실험의 역사, 핵 능력을 추적하는 영역까지 북한이 허락할지는 미지수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핵실험(2~6차)이 이뤄진 2번 갱도의 경우 갱도 바깥의 ‘환경 시료’ 채취, 북측 전문 인력과의 대화 등을 한다면 과거 핵실험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2번 갱도 입구 주변 식물, 돌, 흙 등을 이용해 방사능 동위원소 측정을 하면 핵실험 당시 사용한 핵물질이 플루토늄인지 우라늄인지 등을 알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5월 24일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모습.

안진수 전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책임연구원은 “핵실험으로 형성된 지하 공동을 굴착해서 시료를 채취하면 핵 실험 때 핵 분열이 어느정도 일어났는지를 알 수 있다. 그것으로 북한의 핵무기 ‘실력’을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 지하 공동을 굴착하려면 장비도 실어 날라야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사찰단이 단기간에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북한이 핵 사찰단에 어느 정도 활동을 허용할지는 이르면 내주 열린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 특별대표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간의 실무 협상에서 논의될 전망이다.

이번 핵 사찰단에 우리 정부 관계자가 포함될 수 있을지도 관심을 끈다. 

우리 정부는 지난 9월 평양 공동선언에서 ‘남과 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해나가는 과정에서 함께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하였다’라는 문구를 포함했다. 풍계리 사찰단에 우리 측 전문가나 당국자가 포함되는 것을 희망하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핵 검증과 관련해서 우리가 뭔가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예전부터 생각해 온 부분이다. 다만 이번 사찰단과 관련해서는 한미, 북미 간 협의를 지켜봐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