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선박의 종류 및 복원 선박

① 범선(돛배:풍선)의 특징
  삼국시대 초기의 소형선은 대부분 일체성형선이나 이체성형선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어서 짐을 많이 실을 수 없고 원거리 항해에는 위험하고 불편하여 돛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삼국시대 중기의 신라선은 도구와 기술의 발달로 삼체성형선의 중형선과 다체성형선이 개발되면서 이열방식의 중형구조선으로 발달하였으리라 본다. 신라선의 발달은 이사부전선 이후부터 법흥왕 19년(533) 금관국이 항복하여 (김부식, 『삼국사기』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제4, 법흥왕 19년) 가야의 기술자들을 흡수하면서 대형구조선들이 발달하였다고 본다.

 선박에 돛을 다는 것은 삼국시대 초기에도 가능하나 돛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돛을 사용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필자도 카약에 처음 돛을 달고 서풍에 나갔다가 바람에 밀려서 정치망 부위에 매달려서 들어오지 못하여 결국 해경의 도움을 받은 적이 있다.
 이후 선박을 바꾸고, 아웃리거를 장착하고, 세일을 보완하고, 키를 크게 하는 등의 노력으로  지금은 그 정도의 바람(4-6m/s)이면 즐겁게 세일링을 하고 있다. 
 
 소형선에서는 돛을 달면 멀리 쉽게 갈 수 있으나 되돌아오는 것이 문제가 되어 돛배가 발달하지 못하였는데, 초기에는 큰 돛 보다는 작은 돛으로 뒷바람(순풍)을 주로 이용하여 보조 역할을 하였다. 이후 돛배는 바람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키를 크게 하거나 키를 두 개 이용하였다.
 돛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바람을 최대한 이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사각 돛을 주로 사용하였다. 돛배는 저항이 적은 유선형과 같은 구조가 좋으며 바람이 약할 때는 돛을 최대한 펼치고 바람이 많을 때는 신속하게 줄여줄 수 있는 조절장치가 필요하다.   바람은 순풍만 부는 것이 아니라 기압이 변하면서 방향이 순식간에 바뀌어 돌풍 현상도 자주 있어 편리한 조절장치가 필요하고 측풍을 최대한 활용하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돛배는 동아시아의 끝에 위치하여 기술의 부족, 정보의 부족 등으로 발달이 늦었다. 1,000년이 지난 조선중기에 <도1-26> 정선의 행선도와 같은 측판을 장착한 범선이 나타난다.

▲ <도1-26> 정선의 행선도 측판(18세기)

 필자의 세일카약 경험으로 측판(피수판:리보드)이 없고 키만 있으면 120-150도(키의 크기에 따라 다름) 항해가 가능하고, 측판이 있으면 240도 항해가 가능하다. 요트와 같은 전용 범선은 선저에 킬이 있고 선미에 대형 키가 있어  270도의 크로스항해가 가능하다. 측판이 도입되기 전에는 키를 크게 하는 방법과 키를 두 개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  

 

 

⑤ 복원 선박들

 

▲ <도1-39> 장보고선(전쟁박물관)
▲ <도1-40> 삼국시대 선박(전쟁박물관)

 

 

 

 

 

 

 

  

 ⑥ 복원 가야배

 

 

▲ <도1-45> 김해시 진영읍 목곽묘 24호 주형토기

 

        

▲ <도1-46> 가야시대의 주형토기를 복원한 가야배(길이 8M,폭 2M)

<도1-46> 가야시대의 주형토기를 복원한 가야배(길이 8M,폭 2M)  김해시 진영읍 목곽묘 24호에서 나온 삼국시대 5세기경의 주형토기(舟形土器)는 길이 22.4㎝, 폭 10.3㎝, 높이 4.7㎝가량으로, 선체의 단면은 완만한 U자형을 이루며 바닥은 대체로 평평하다.  뱃머리 쪽에 1개의 칸막이를 설치해 선실을 구분했고, 배의 양쪽 상단부에는 노를 걸치는 장치로 추정되는 돌기가 형성돼 있다. 부산일보, busan.com, 가야시대 배모양 토기 첫 발굴

 필자는 김해시 진영읍  목곽묘 24호에서 나온 주형토기(舟形土器)는 선체의 단면이 완만한 U자형으로 생기고 내부구조는 1개의 칸막이로 되어있고 선수 부분은 열려 있어 독목주의 1-2인용 강배로 생각된다. 이유는 선체가 U자형으로 독목주(통나무)형태를 그대로 가지고 있고, 노를 걸치는 돌기(놋좃)는 좌우에 1개이며, 앞부분이 열려있어 물이 들어오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어 가야 초기의 독목주를 이용한 1-2인용 강배라고 본다.
 위의 주형토기를 모델로 가야배를 복원하였다면 이것 또한 오류라고 본다. 오류의 가장 큰 원인은 좌·우의 놋좃이 외노 방식인가 쌍노 방식인가를 먼저 검증한 다음 복원되어야한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