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 3.7배 규모 확장해 ‘보행자 중심’...지하 대규모 공간에는 ‘광화문 복합역사’ 신설

‘광화문 광장’ 당선작 메인 투시도 / 서울시 제공

[공감신문] 서지민 기자=광화문 광장이 오는 2021년 ‘보행자 중심’으로 역사성을 간직한 국가 상징광장이자 열린 일상의 민주공간으로 시민 품에 돌아온다.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 광장의 미래 청사진인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을 21일 발표했다.

당선작의 가장 핵심은 지상은 넓게 비우면서 지하를 채우는 구상이다.

세종문화회관 앞 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광장 규모가 3.7배로 확장되고, 해치광장 등 세 곳으로 단절돼 있던 지하공간은 하나로 통합돼 시민을 위한 또 다른 광장을 만든다. 지상과 지하 광장은 ‘선큰공간’으로 연결한다.

‘광화문 광장’ 당선작 조감도 / 서울시 제공

지상광장은 질서 없는 구조물과 배치를 정리해 경복궁과 그 뒤 북악산의 모습을 광장 어디서든 볼 수 있게 한다. 또 대형 이벤트가 가능하도록 세종대왕상과 이순신장군상을 세종문화회관 옆으로 이전해 넓은 공간을 조성한다.

지하광장은 서울시청까지 연결해 콘서트, 전시회 같은 문화 이벤트가 연중 열리는 휴식·문화·교육·체험 공간으로 이용한다.

또 지하공간에 GTX-A(파주 운정~서울~화성 동탄)와 지하철 5개 노선을 품는 초대형 ‘광화문 복합역사’ 신설을 추진한다. 5호선 광화문과 1·2호선 시청, GTX-A,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선(용산~고양 삼송)까지 모두 역사로 편입한다.

서울시는 “강남의 영동대로 복합역사 개발에 발맞춰 강남·북 간 도심 연결축을 강화하고 서울의 균형발전을 앞당기는 모멘텀으로 삼겠다”고 설명했다.

‘광화문 광장’ 당선작 광장 옆 테라스 투시도 / 서울시 제공

광장과 맞닿아 있는 주변 건물도 광장의 일부분이 되도록 조성한다. 광장과 건축물 사이에 카페 테라스, 바닥분수, 미니 공원 등을 설치한다. 건물 외벽을 활용한 ‘미디어파사드’를 통해 독창적인 경관도 창출한다. 광장과 건물 사이, 건물 옥상 등에 사계절 뚜렷한 경관을 연출할 다양한 나무를 식재해 도심 녹지를 형성한다.

시는 새로운 광화문 광장의 기본 방향을 ▲광화문의 600년 ‘역사성’ ▲3.1운동부터 촛불민주제까지 광장민주주의를 지탱해 온 ‘시민성’ ▲지상·지하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보행성’ 회복이라고 설명했다.

당선작은 시가 제시한 기본방향을 반영해 세 가지 목표를 구현하고자 했다. 주작대로 복원을 통한 국가상징축(북악산~광화문광장~숭례문~용산~한강)을 완성하고, 광화문 광장의 지상·지하광장을 연결, 북악산~경복궁~광화문을 이어 자연과 도시를 아우르는 한국적 경관의 재구성하는 목표를 담았다.

승효상 심사위원장은 “현재 교통섬 같은 광화문광장이 주변공간과 밀접하게 연결돼 시민의 일상적인 공간을 회복하고 역사도시 서울을 새롭게 인식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