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낙관론'…홍남기 "5월부터 매달 개선 '팩트'"

  © 픽사베이
  © 픽사베이

[공감신문] 염보라 기자=7월까지 다섯달 연속 취업자 수 감소세가 이어지며, 11년만에 최장 기간 감소를 기록했다. 특히 청년층이 코로나발(發) 고용한파의 직격탄을 맞았다.

 

이를 두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서는 여전히 어렵지만, 5월부터 고용상황이 매달 꾸준히 나아지고 있다는 점은 '팩트'"라고 낙관론을 펼쳤다. 다만 "청년 고용지표의 개선이 더디다는 점은 마음 아픈 부분"이라며 "현재의 고용시장 상황을 여전히 엄중하게 인식하고,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10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7만7000명 감소했다.

지난 3월(-19만5000명)과 4월(-47만6000명), 5월(-39만2000명), 6월(-35만2000명)에 이은 감소세다. 5개월 연속 취업자 수 감소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 1월부터 8월까지 8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11년만에 최장 기간 감소다.

 

취업자 수 감소 영향으로 고용률은 15세 이상(-1.0%p)과 15~64세(-1.1%p) 모두에서 하락했다. 경제활동참가율 역시 64.0%에서 66.0%로 0.9%p 줄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5월부터 3개월 연속 취업자 수 감소폭 및 고용률 하락폭은 축소됐다"며 "7월 계절조정 취업자수는 6월보다 7만2000명 증가하면서 3개월 연속 전월 대비 증가세 지속됐다"고 자평했다.

홍 부총리 역시 고용동향 발표 직후 올린 페이스북 글에서 "우리 고용지표는 1년 전의 같은 달과 비교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지금처럼 고용시장에 발생한 큰 충격의 추이를 모니터링할 때에는 계절요인을 제거한 숫자를 지난달과 직접 비교하는 방식이 효과적이고 이해하기도 쉽다"며 "계절조정 전월비 취업자수는 5월 +15만3000명, 6월 +7만9000명 그리고 지난 7월 +7만2000명으로 3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취업자 수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에서 37만9000명 증가했으나 '한창 일할 나이'인 20대(16만5000명), 30대(17만명), 40대(16만4000명)에서 50만명 가까이 줄었다. 50대에서도 12만6000명이 감소했다.

 

'청년층'으로 구분되는 15~29세로 분류하면 취업자 수 감소 폭(-19만5000명)은 더 크다. 이들의 고용률  역시 1.4%p 줄었다. 기재부는 "숙박음식업·제조업 등 청년 비중 높은 업종이 둔화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지난달에 이어 숙박 및 음식점업(-22만5000명), 도매 및 소매업(-12만7000명), 교육서비스업(-8만9000명) 등에서 감소를 지속했다. 제조업에서는 취업자 수가 5만3000명 줄었다. 교역상대국의 경제 위축으로 수출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근로자(-39만5000명), 일용근로자(-4만4000명)들의 일자리가 크게 줄었다. 비임금 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만7000명 증가했고,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7만5000명, 무급 가족 종사자는 5만7000명 감소했다.

 

이 기간 실업자 수는 비경활인구의 구직활동 재개 등이 영향을 미치며, 1년 전과 비교해 4만1000명 증가한 113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실업자가 증가하면서 실업률도 0.1%p 오른 4.0%를 기록했다.

 

일시휴직자는 68만5000명으로 23만9000명 늘었다. 증가 폭만 보면 지난 3~6월 대비 감소한 수준이다. 

 

홍 부총리는 "숙박·음식업 취업자가 지난해보다 22만5000명 감소하는 등 대면업무 비중이 높은 업종 상당수가 여전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도 고용지표에 여실히 드러난다"며 "청년 고용지표의 개선이 더디다는 점은 특히 마음 아픈 부분이다. 최근의 집중호우도 다음 달 발표될 8월 고용상황에 큰 부담 요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3차 추경에 포함된 57만5000개 직접일자리 사업 등 고용안정 패키지와 8대 소비쿠폰 등 경기·소비 보강 프로그램의 집행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며 "현재 편성중인 내년도 예산안에 '한국판 뉴딜' 사업을 차질 없이 반영하는 등 우리 경제의 일자리창출·고용안전망 확충을 위한 노력을 지속·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