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기 1년새 2641개 줄어, 2003년 이래 최대 감소…모바일 퍼스트 및 영업점 효율화 전략 강화

급격히 늘고 있는 모바일 뱅킹 이용자 / 연합뉴스=공감신문

[공감신문] 지난해 은행 임직원, 영업점, 자동화기기 수가 모두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은행권의 '다운사이징'이 탄력 받으면서 향후 모바일 퍼스트와 영업점 효율화 전략은 강화될 전망이다.

28일 금융감독원의 금융통계정보시스템 통계를 보면 지난 연말 은행권의 총 임직원 수는 11만4775명으로 전년(11만7023명)보다 2248명 줄었다. 지난 2010년 2372명이 줄어든 이후 6년 만에 최대 규모다.

올 초에 이뤄진 KB국민은행의 희망퇴직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여서 내년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 1월 2795명을 퇴직시켰다.

은행 지점과 출장소를 포함한 영업점 수도 급감했다. 지난 연말 기준 전국 은행 영업점 수는 7103곳으로 전년 대비 175곳이 줄었다.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2년 이래 최대 규모의 감소다.

현금인출기(CD기), 현금자동입출금기(ATM기) 등 자동화기기 수도 급감했다. 은행권의 자동화기기 수는 지난 연말 4만8474개로 전년(5만1115개)보다 2641개 줄었다. 2003년 이래로 연간 기준 가장 큰 규모의 감소다.

은행들이 직원, 영업점과 자동화기기의 급격한 감소 원인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모바일과 인터넷 뱅킹의 발달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체 조회서비스에서 모바일을 포함한 인터넷뱅킹 비율은 80.6%를 기록했다. 한은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반면 창구거래와 자동화기기 등 오프라인 거래는 15.5%에 불과했다.

거점 점포를 중심으로 영업점 통폐합도 이뤄지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6∼7곳의 점포를 하나로 묶어서 '소 CEO' 체제를 구축하는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의 영업 전략을 도입하는 추세다.

허브 센터의 지점장이 6~7개의 영업점을 관리하며 인력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어서 인력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중은행들은 편의점과 제휴를 맺고, 현금을 찾을 수 있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 고객은 신세계 계열 편의점 위드미 전국 1700개 매장에서 현금을 찾을 수 있는 캐시백서비스를 이르면 이달 말부터 이용할 수 있다.

유연근무제나 2교대 근무제 등을 도입하면서 인력 사용도 다변화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내달부터 전국 130여개 지점에서 저녁 7시까지 야간 영업을 진행한다. 직원들의 근무시간을 다변화해 영업시간을 3시간가량 늘린 것이다.

여기에 시중은행들은 직원 없이 고객이 간단한 기계 조작만으로 대부분의 은행 거래를 할 수 있는 무인점포를 배치하는 추세다.

금융권 수장들은 올해 경영 목표 중 하나로 이미 디지털 금융을 화두로 내세운 상태다.

최근 미국 실리콘 밸리와 뉴욕 월가를 다녀온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KB를 디지털 사관학교로 만들겠다"고 밝혔으며 위성호 신한은행장도 글로벌과 함께 디지털을 경영의 화두로 내세우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은행권 움직임 덕분에 향후에는 소비자들이 금융서비스를 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