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GDP 8위, 개인 GDP 22위 “국가 규모에 비해 개인 임금 수준 떨어져”

[공감신문]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이 국제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중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6년간 임금 증가율도 OECD 평균치보다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우리나라 평균 임금은 2만9125달러로 OECD 34개국 중 23위였다.

OECD 회원국의 임금 현황을 분석해보면, 2016년 한국 근로소득자의 평균 임금은 2만9125달러로 OECD 34개국(터키 제외) 중 23위에 올랐다.

임금 증가율도 낮은 편이다. 2010~2016년 OECD 34개국 평균 임금 증가율은 5.39%였던 데 반해, 한국은 같은 기간 2만8040달러에서 지난해 2만9125달러로 3.87% 오르는 데 그쳤다. 

라트비아(27.90%), 아이슬란드(24.26%) 등 임금 증가율이 20%를 웃도는 국가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격차는 훨씬 두드러진다. 

임금증가율도 OECD 평균치보다 낮았다.

지난해만 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조4112억 달러로 OECD 8위에 올라 높은 성적을 받았지만 1인당 GDP는 2만7539달러로 22위에 그쳤다. 국가 규모에 비해 개인과 임금 수준은 떨어지는 것이다. 

총생산 대비 임금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1인당 GDP 대비 평균 임금은 우리나라가 105.76%로 GDP 규모가 비슷한 호주(114.38%), 캐나다(115.49%), 스페인(114.97%)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GDP가 다른 국가와 비슷하지만 임금 소득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이 확연히 드러나는 부분이다. 

또 GDP에서 특정 대기업이 차지하는 생산과 소득 비중이 큰 경우에도 1인당 GDP 대비 임금 소득수준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대기업은 성장하는데 가계소득이 하락하는 이유가 임금격차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고용형태에 따른 임금 격차 해소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경제 성장의 성과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대기업의 하청기업 임금 인상을 유도하는 등 고용형태에 따른 임금 격차 해소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편, 지난 31일 고용노동부가 조사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국내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월 평균 임금 차이는 200만원이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