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관리학회 회장 “헌혈부터 수혈까지, 통합정보관리 시스템 도입해야”

지난 2일, 보건복지부는 "전문가, 환자단체,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혈액 관리 대책을 완성해 올해 안에 혈액사업 중장기 발전 계획(2018~2022)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신문] 현재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혈액안전관리개선 종합대책’을 통해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갖추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후 중장기적 혈액 수급에 대한 전망에 대한 연구, 헌혈 확보 전략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저출산의 여파로 헌혈자의 73%를 차지하는 10~20대의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고, 수혈자의 73%를 차지하는 50대의 인구는 고령화로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실정인 것이다.

이러한 고령화 시대에 암‧심장‧뇌와 관련한 중증질환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중장기 혈액 수급 대책이 절실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장년층 헌혈 비율은 4.1%인 것으로 확인됐다. 10~20대 73%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편이다. 보건당국은 10~20대의 헌혈 참여가 10%만 감소해도 오는 2022년에는 혈액이 부족해지리라 전망했다.

13일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국내 ‘환자 혈액 관리(Patient Blood Management·이하 PBM)’ 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이야기했다.

PBM 시스템은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제도로 환자에게 수혈을 최소화하고 의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혈액관리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현재 정부차원에서 혈액공급 위기대응 매뉴얼(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이 가동되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관의 실질적인 참여는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외국과 달리 재난‧긴급 사태가 발생했을 때, 혈액 사용량 감축과 관련한 의료기관의 협조를 얻기 힘든 상황이다.

외국의 경우, 민관 합동 혈액공급 대책이 수립되어 있다. 영국의 경우, 혈액이 부족했을 때 의료기관이 정부에 협조하도록 하며, 호주는 의료기관별 수술 취소 권고‧헌혈자 선별기준 및 검사 완화 조치‧혈액원과 재고 조정 등이 시행되고 있다. 

고령화 시대에 암‧심장‧뇌와 관련한 중증질환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중장기 혈액 수급 대책이 절실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헌혈 목표 관리제도 도입 ▲헌혈 교육 및 문화 확산 ▲헌혈자 예우 향상 ▲헌혈 인프라 확충 ▲희귀혈액제제 안정적 공급 기반 마련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김영우 혈액관리학회 회장은 “헌혈부터 수혈까지 혈액이 유통되는 모든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혈액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장년층 헌혈 비율은 4.1%인 것으로 확인됐다. 10~20대 73%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편이다. 보건당국은 10~20대의 헌혈 참여가 10%만 감소해도 오는 2022년에는 혈액이 부족해지리라 전망했다. 

혈액 확보를 위해 헌혈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중장년층 헌혈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