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태평양전쟁 동원된 조선인 청년 피해실태 담은 진상보고서 첫 발행

1940년대 일본이 우리나라 학생과 청년 4385명을 '학도지원병'이라는 구실로 태평양전쟁에 강제 동원한 사실이 정부의 보고서를 통해 알려졌다.

[공감신문] 1940년대 일본이 우리나라 학생과 청년 4385명을 '학도지원병'이라는 구실로 태평양전쟁에 강제 동원한 사실이 정부의 보고서를 통해 알려졌다.

22일 행정안전부는 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청년의 피해 실태 조사 내용을 담은 진상보고서를 정부차원으로 처음 발행했다.

진상보고서는 행안부 과거사업무지원단과 고려대가 작년 10∼12월 합동으로 조사한 결과로 작성됐으며, ▲학도병 제도 시행에 관한 배경 ▲학도병 동원 규모 ▲부대배치 실태 ▲생존자 회고록 ▲일본군 부대 명부 등 학도병 동원 피해 관련 실태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학도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4385명으로 정도로 추정됐지만 구체적인 자료가 존재하지 않았다"며 "이번 보고서는 학도지원병으로 인한 피해 실태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 내용에 의하면 학도지원병은 전문학교 이상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군인 동원제도다. 1943년 말 기만적인 지원과 전형 절차를 거쳐 강제 동원됐다.

학도지원병은 전문학교 이상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군인 동원제도다. 1943년 말 기만적인 지원과 전형 절차를 거쳐 강제 동원됐다.

학병 동원 대상자로 지목된 총 6203명 가운데 70%에 해당하는 4385명이 군인으로 선발됐으며, 이외 학도병 제도를 거부한 나머지 청년들은 군수공장 등 노역을 하는 곳으로 보내졌다.

동원된 학도병들은 1944년 1월 20일 일본군 부대에 입영 후 훈련을 받고 각 지역으로 배치됐다. 절반은 일본으로 파병됐고, 30%는 중국 전선으로 보내졌으며, 나머지는 한반도 내에 남아 전쟁에 대비했다. 

조사단은 당시 '육군특별지원병임시채용규칙'을 비롯해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학도병 출신자 모임 '1·20 동지회'의 회고록, 한국 광복군·독립유공자 명부, 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 명부, 일본군 부대 명부 등을 상세하게 검토했다.

그 결과 학도병 가운데 일본군을 탈출한 뒤 광복군에 참가한 사람이 43명,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은 이가 71명으로 확인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에 발굴된 자료 가운데 전선 배치 이후 탈출해 광복군 등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이들의 기록이 꽤 담겨있었다"며 "앞으로 이 같은 기록들이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사단이 찾은 일본군 명부에는 목숨을 걸고 일본군을 탈출한 학도병의 사례가 자세하게 기록돼 있었다. 김준엽 선생.

조사단이 찾은 일본군 명부에는 목숨을 걸고 일본군을 탈출한 학도병의 사례가 자세하게 기록돼 있었다.

1944년 1월 20일 입영한 평양 출신 고(故) 김준엽 선생(전 고려대 총장)은 중국 안동과 상해관을 거쳐 보병으로 서주 지역에 배정됐다.

그는 초년병 교육을 받았던 그해 3월 행군 전날 복통을 호소하며 교관으로부터 내무반에 머무를 것을 지시받았다. 그 후 같은 날 "복통에도 행군에 참가하겠다"고 말하고는 그날 밤 군부대에서 몰래 도망쳤다.

도망친 김 선생은 한국 광복군에 합류했다. 일본군은 중국까지 밀정을 보내 김준엽 선생의 뒤를 캤으나 결국 그를 찾지 못했다.

1944년 7월 중국 서주에서 탈출한 고 장준하 선생도 탈출 후 광복군으로 활동하다 조선 해방의 기쁨을 맞았다.

행안부 관계자는 "일본은 꽃다운 나이의 조선 청년들을 전장에 내몰아 희생양으로 전락시켰다. 일본의 강제동원 사실 피해를 명확히 밝혀내야 한다"며 "앞으로 적극적으로 진실을 규명할 방침이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