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들, 美 등에 비해 자율주행차 허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세계 각국의 자율주행 개발 경쟁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가 나왔다. 특히 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이 제도적 기반 측면에서 미국에 앞서고 있다는 설명이 나와 눈길을 끈다.

[공감신문] 본격적인 자율주행 시대 돌입을 위한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아시아 여러 국가들이 제도적 기반 측면에서 미국을 따돌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우리나라는 '조용한 리더'라는 평가와 함께 선두 국가 중 하나로 손꼽혀 눈길을 끈다. 

블룸버그 산하 IT정보제공업체 BNEF의 15일자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 국가들은 자율주행 차량 전개에서 미국을 앞지르고 있다. 

세계 주요국의 정부들은 자국 기업들이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라지만, 아직까지 완성되지 않은 기술로 공공 도로에서 주행을 허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반면, 아시아의 국가들은 전반적으로 자율주행 허가에 매우 적극적이라는 것이 보고서의 설명이다. 

BNEF 보고서는 한국이 오는 2020년까지 자율주행차 판매를 추진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는 '조용한 리더'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여러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도 한국이 2020년까지 자율주행차 판매를 추진하고 있다며, '조용한 리더'라 평했다. 

현재 한국 정부는 320km 길이의 공공 도로 시험 운행을 허가했으며, 경기도 화성에 시험장을 짓고 연내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 삼성, 폴크스바겐, 서울대 등 40여개 단체를이 현재 국내 공공 도로에서 시험 운행을 진행하고 있다.

BNEF의 보고서는 "처음엔 한국이 다소 뒤처졌다는 느낌을 받았으나, 실제로는 많은 것을 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싱가포르 역시 자율주행 개발 분야 선두주자로 꼽힌다. 싱가포르는 지난 2015년 공공 도로 시험 운행을 허가한 바 있다. 또, 자율주행 버스 배치에 주력하고 있으며 항구 운영사인 PSA는 투아스 항만에서 자율주행 차량 입찰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 당국은 바이두를 비롯한 자국 자율주행차 개발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나서고 있다.

중국 역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있다. 중국은 향후 10년 내에 자율주행차 3000만 대를 단계적 투입할 방침이다. 

이런 계획에는 자국의 IT기업 바이두, 반도체 업체 등을 육성하려는 목적이 함께 담겨있다. 베이징의 자율주행 트럭 업체 '투심플(TuSimple)'은 상하이와 미국 애리조나 등지에서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보고서는 북미에서도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한 활발한 움직임이 있지만, 연방 국가라는 특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각 주(州)마다 별도의 행정 체계를 갖고 있는 것이 자율주행차량의 시험 주행을 방해한다는 지적이다.

미국은 연방제 국가이기 때문에 각 주(州)마다 행정 체계가 달라 자율주행차 시험 주행에 난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주의 공공도로에서 만큼은 세계 최대 규모로 시험 주행이 진행되고 있다. [웨이모 웹사이트 캡쳐]

미국은 현재 50개 주 중에서 17개 주만, 캐나다는 10개 주 중에서 2개 주만이 도로 시험 주행을 허가한 상태다. 

BNEF는 유럽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 분야에서 가장 앞장서고 있는 나라가 시험 운행 기반을 지원하고 있는 영국이라 분석했다. 

이밖에 프랑스, 이스라엘은 사안에 따라 공공 도로 시험 운행을 허용 중이다. 반면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52개의 자율주행 시험 프로그램을 허가하는 등, 세계 최대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독일은 운전자가 운전대에서 손을 뗀 채 시험 운행하는 것을 허용하고, 시스템 실패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제조사가 책임을 지게 하는 등의 대책 마련으로 다른 나라에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 꼽혔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