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기상상황 흑백으로 봤다면, 내년부터 고해상도 컬러 영상으로 선명하게 본다”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실시간 기상관측 위성 '천리안 2A호'가 오는 12월 발사된다. [한곡항공우주연구원]

[공감신문] 날씨예보를 더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도와줄 정지궤도 위성이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정식 명칭은 ‘정지궤도 복합위성 2A’, ‘천리안 2A’라 불리는 이 위성은 3만6000km 상공 정지궤도에서 한반도 주변 기상 상황을 24시간 관측할 예정이다. 

29일 최재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장은 “정지궤도 위성 조립과 시험 과정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지상관제 시스템 같은 소프트웨어까지 모두 우리 연구진의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한반도 기상 상황을 흑백으로 봤다면, 내년부터는 고해상도 컬러 영상으로 선명하게 들여다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천리안 2A호는 1호보다 3.5배 증가한 52종의 기상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천리안 2A호 핵심 임무는 기상관측으로 태풍, 폭설, 집중 호우, 해빙, 미세먼지, 화산재, 중국발 황사를 실시간으로 살피게 된다. 

이는 2010년 쏘아 올린 천리안 1호의 역할을 대처하는 것이다. 천리안 1호는 해양‧통신 탑재체를 갖추고 있어 기상에 특화한 2A호의 성능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동 단장은 “관측 채널은 16개로 기존 5채널보다 3배 이상 늘었다. 면적 기준 해상도는 4배 이상 향상했고, 관측 시간 역시 기존 30분 이상에서 5분 안팎으로 크게 단축했다”라고 설명했다.

태풍으로 예를 들자면 천리안 1호의 관측 주기는 15분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공개된 2A호는 2분으로 대폭 줄어들었다. 영상 생산 속도도 기존 15분에서 5분으로 감소됐으며, 자료 전송 속도는 초당 115메가비트로 1호보다 18배 빨라졌다. 

천리안 2A호가 발사된다면 더욱 신속하고 선명하게 기상관측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최 단장은 “몽골 북동 지역 산불 스모그가 북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모습부터 오염 물질이 한반도를 향해 움직이는 걸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우주환경을 모사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내 연구실에서 위성 시험을 진행하는 모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천리안 2A호는 발사 때 충격을 가정해 심하게 흔들어 보는 위성 정현파 진동 시험, 음향 시험, 발사체 접속 확인·분리 충격 시험, 태양 전지판 전개·충격 시험, 열 진공 시험, 전도성 전자기 적합성, 전자파 환경시험 등 9단계를 완벽히 통과했다.

시험 강도와 관련해 윤용식 박사는 “예를 들어 전지판의 경우 태양을 보는 면은 120도 이상 올라가는데, 반대 면은 영하 120도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극한의 기온을 견뎌야 한다. 음향 시험 같은 건 마치 대형 수송기가 바로 옆에서 이륙하는 소음 수준까지 다다른다”라고 말했다. 

현재 항우연에서 위치한 천리안 2A호는 발사 전 모든 점검을 마치고, 오는 12월께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Kourou)에서 발사된다. 

천리안 2A호의 정지 궤도는 경도상으로 동경 128.2도로 이곳에는 지금 천리안 1호가 있다. 2호가 올라갈 즈음 1호 궤도는 2A에게 자리를 내주기 위해 약 0.05도 정도 옆으로 밀리게 된다. 

내년 해양‧환경 위성인 천리안 2B호까지 128.2도에 올라선다면 우리나라 정지궤도 영토에는 천리안 1호가 수명을 다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3기가 모인다.

2020년께 임무를 마무리하게 될 천리안 1호는 마지막 남은 연료를 이용해 고도를 높이게 되며, 이후에는 우주에 머물 전망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