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 2016년부터 실증연구 중...실제 성과로 이어져

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바른미래당·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 공동주최한 ‘신재생에너지가 미래다’ 정책 세미나에서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왼쪽)와 같은 당 정운천 의원이 기념촬영 중이다. / 서지민 기자

[공감신문] 서지민 기자=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서 부지 확보는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대규모의 부지 확보가 어려운 만큼, 이미 농작지로 활용 중인 땅에 ‘영농형 태양광발전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에너지 발전량을 키울 수 있다.

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바른미래당 정운천·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한 ‘신재생에너지가 미래다’ 정책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재생에너지 중에서도 특히 ‘영농형 태양광발전’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영농형 태양광사업은 농작물을 경작하는 부지 그대로에서 태양광으로 에너지 발전을 하는 사업이다. 토론회 참석자들 대부분이 영농형 태양광 발전 사업에 대해서 미래 재생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강조했다.

한국이 신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태양광부지 확보가 중요하다. 영농형 태양광사업은 농작물을 경작하는 부지 그대로에서 태양광으로 에너지 발전을 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현재 농경지에서 바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고, 새로운 부지 선정이나 환경 훼손 없이 재생에너지 전환을 진행하기 적정한 사업인 것이다.

이날 오수영 영남대학교 교수는 ‘농촌/영농형 태양광-한국형 신재생에너지 확산 마중물’을 주제로 발표했다. / 서지민 기자

이날 오수영 영남대학교 교수는 ‘농촌/영농형 태양광-한국형 신재생에너지 확산 마중물’을 주제로 발표했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은 2016년 말부터 2019년까지 실증연구 중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농작물 감수율, 경제성, 안정성 등을 검토하는 것이다.

처음 한국에서 처음 영농형 태양광사업이 진행된 곳이 2016년에 시작한 한국 청주의 ‘solar farm’이다. 이 농장에 2016년 5월 8일 논 면적의 40%에 태양전지를 설치하고, 같은 해 9월 3일에 85%의 수확량을 확보했다.

또 2017년 5월에는 논 750평 부지의 30% 면적에 100KW 태양전지를 설치하고, 같은 해 9월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제로 영농형 태양광발전사업이 진행 중에 있고,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오 교수는 해당 사례를 소개하며 “처음에는 근처 주민들이 혐오시설이라고 싫어했는데, 발전기가 설치되고 나서는 농가에 부수입이 생겼다. 그때부터는 반대가 없어졌다”고 언급했다.

이날 오수영 영남대학교 교수는 ‘농촌/영농형 태양광-한국형 신재생에너지 확산 마중물’을 주제로 발표했다. / 서지민 기자

하지만 영농형 태양광사업을 본격적으로 보급화하기 위해서는 개선해야 할 점들이 나타났다. 농민들이 실제로 사업을 추진할 자금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돈을 들여 발전소를 설치해도 전력 생산이 안정화되고, 발전소 설치에 들어간 빚을 다 갚기까지 10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오 교수는 “농민들은 주로 7~80대인데, 10년 후부터 안정적인 수익이 생기면 뭐하나”라며 “사업 추진에 있어 금융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