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도 다양한 뉴스가 쏟아졌습니다. 이 중 주식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그렇지만 사전 지식이 없다면 쉬이 읽히지 않는 기사를 하나 골라 [경제이슈 쉽게 읽기] 라는 타이틀로 쉽게, 친절하게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픽사베이     ©염보라
▲ /픽사베이     ©염보라

 

[공감신문] 염보라 기자=가계·기업 등 민간이 짊어진 빚이 한국 경제규모의 2.2배를 넘어섰다는 통계가 24일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민간신용(민간부채)은 4540조원으로 추산됐습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5년 이후 최대치이자 사상 첫 4500조원 돌파입니다.

지난 1년 동안 무려 409조4000억원이 늘었습니다. 가계도, 기업도 ‘빚’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 결과입니다.

전문가들은 특히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에 주목합니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220.8%를 기록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경제 규모의 2.2배 이상으로 민간의 부채가 쌓였다는 의미입니다.

부채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가계와 기업의 상환부담은 더 커졌습니다.

가계 상황부터 볼까요. 가계가 실질적으로 소비 지출할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지난해 말 173.4%로 집계됐습니다. 쓸 수 있는 돈보다 갚아야 할 부채가 두 배 가량 더 많은 셈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의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의 상황은 더 취약합니다.

부채를 보유 중인 자영업 가구 가운데 ‘적자가구’ 수를 보니 약 78만 가구로 추산됐습니다. 이는 전체 자영업 가구의 16.7% 수준입니다. 5개 가구 중 1개 가구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주머니 사정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황에 처해있는 것이죠.

게다가 78만 가구 중 27만 가구는 유동성 자산으로 적자를 1년도 감당할 수 없는, 지금 당장 문을 닫아도 이상할 게 없는 ‘유동성 위험가구’로 추정됐습니다.

기업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번 돈으로 이자조치 갚기 어려운 ‘좀비기업’이 수두룩합니다. 각종 통계자료들은 3개 기업 중 1~2곳이 좀비기업이라고 꼬집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미국이 금리상승기에 돌입했다는 사실입니다.

과거를 돌이켜 보면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발생하기 진전인 1995~1996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있었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미국이 금리를 올렸고, 이로 인해 부동산 거품이 붕괴되면서 위기가 시작됐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미국 금리인상의 한국경제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단기 국채금리가 미국의 적정 금리상승 폭인 2.04%p(한경원 계산)만큼 올라갈 경우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이 39조7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당 이자부담은 340만원씩 늘어날 것으로 봤습니다.

기업의 이자부담 증가도 당연한 결과입니다.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부채발(發) 위기가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든든한 지붕이 돼줘야 할 정부의 상황도 녹록지 않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올해 1차 추경 기준 국가채무는 1075조7000억원으로 GDP 대비 50.1%를 기록 중입니다. IMF는 내년 이후 한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59.3%로 세계 최고 수준의 증가 폭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반면 1997년 IMF 위기 당시 우리나라의 국가채무 비율은 11.4%에 불과했습니다. 위기라는 이름으로 몰아치는 파도 속에서 우리나라가 빠른 시간 내 극복할 수 있었던 건 이 ‘정부의 재정건전성’ 덕분이 컸습니다.

“부채의 폭탄이 오고 있다. 평생 보지 못한 위기를 겪게 될 것이다.”

워런 버핏, 조지 소로스와 함께 세계 3대 투자가로 불리는 짐 로저스는 지난 2019년부터 이같은 주장을 펼쳐왔습니다. 부채發 위기가 오고 있다는 경고장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