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기원 이광희 교수팀 "플렉서블·웨어러블 기기에 활용"

[공감신문 김송현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 이광희 교수 연구팀이 유연하면서도 가시광 투과도가 100%에 가까운 그물망 구조의 유기 반도체 재료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자유자재로 휘어지면서도 투명한 반도체가 개발된 것이다.

최근 다가올 사물인터넷(IoT·인터넷을 기반으로 생활 속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서비스) 시대를 맞아 휘어지면서도 투명한 유기 전자 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실리콘 등 딱딱한 무기 반도체 대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그래핀이나 이황화몰리브덴 등 2차원 반도체 소자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투명하지 않고 제작 단가도 높다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성질을 갖는 유기물질인 유연한 유기 반도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전하이동도가 낮고 가시광을 흡수하는 영역에서는 빛이 통과할 수 없어 불투명하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 이광희 교수 연구팀이 유연하면서도 가시광 투과도가 100%에 가까운 그물망 구조의 유기 반도체 재료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자유자재로 휘어지면서도 투명한 반도체가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뒤로 하고, 연구팀은 투명한 절연체에 유기 고분자 반도체 'DPP2T'를 소량 도입해 그물망 구조의 반도체 박막을 구현해 빛을 통과시키는 데 성공했다.

DPP2T와 절연체를 혼합한 그물망 반도체는 순수한 DPP2T 박막보다 전하이동도가 4배 이상 높았으며, 가시광 투과도는 100%에 가까워 반도체 박막을 통해 반대편 사물을 볼 수 있다.

초박막형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지난달 22일자에 실렸다.

그물망 구조의 반도체(오른쪽)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